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사용할 예정이다.DRC 최종 결선은 올해 6월 미국 LA인근 소도시 ‘퍼모나’에서 열린다.
우리나라
에서는 KAIST가 개발한 DRC휴보2와 로봇기업 로보티즈가 개발한 똘망2가 출전한다. 박재흥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교수팀도 출전을 준비하고 있지만 로봇은 로보티즈의 똘망을 구매해 사용할 ... ...
Part 5. 우롱이와 함께 만든 생태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중요한 곤충이에요.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꿀벌 수가 40~45% 줄어서 문제가 되고 있어요.
우리나라
토종벌도 2010년에 약 75~80%가 사라졌답니다. 꿀벌을 죽이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퍼지고, 꿀벌이 꿀을 빠는 ‘밀원식물’이 줄어들었기 때문이지요.자생종 식물의 꽃은 꿀벌이 아주 좋아하는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주요 선진국들과 함께 참여하게 되었어요. 친구들이 어른이 됐을 땐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깨끗한 핵융합 에너지를 이용하게 될지 몰라요. 매연 없이 상쾌한 세상, 상상만해도 즐겁지 않나요 ... ...
[과학뉴스] 가거초의 해양생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misakinosibogae ) | 흰 몸통에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져있다. 히드라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중부해역에서만 볼 수 있다.서남해의 끝 가거도 앞바다 수심 7.8m 지점에는 대형 수중암초인 가거초가 있다. 서해 냉수와 남해 온수가 섞이는 이곳에는 연산호와 갯민숭달팽이 등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스라엘은 첨단 기술을 수출해 국가 경제 규모를 키운다”며 “앞으로
우리나라
기업이 직접 위성을 만들 수 있도록 차근차근 기술을 전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15세기 유럽 항해자들은 신대륙을 찾은 모험가로 불렸다. 그들이 찾은 신대륙은 유럽 국가를 부유하게 만들었고, 이를 바탕으로 ... ...
[생활] 2015 SOFT.WARE 진로 가이드로 미래를 설계하세요!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컴퓨터과학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교육하는 학교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요.그런데
우리나라
의 소프트웨어 현실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에요. 이현재 다음카카오 대회협력실 차장님에 따르면 미래 산업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지만 IT 관련 전문 인력은 8만명 이상 부족하다고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마무리하며 이식 박사는 독자들 앞에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꺼내 들었다. 1988년 처음
우리나라
에 들어온 슈퍼컴 1호기는 계산 속도가 지금의 스마트폰 수준이었다. 그만큼 슈퍼컴퓨터의 발전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독자들은 과거의 슈퍼컴퓨터를 하나씩 들고 다니는 셈이라며 신기해 했다. 또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심각한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부연구위원도 “매년
우리나라
에 새롭게 출시되는 전자담배를 꾸준히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보호장비를 일부만 사용하거나 재사용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상황이 열악한 만큼
우리나라
의료진들의 어깨도 무겁다. 무더위와 바이러스 공포에 맞서 진료에 임하고 있을 의료진들의 건투를 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열릴 것이다. 운이 좋으면 5년 이내에 중력파 최초 검출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에도 약 20여 명으로 구성된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있다. 2009년 9월 라이고과학협력단의 검출기에서 나온 데이터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하는 연구에 참여해왔다. 아울러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에 대한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