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결과도 계산기로 검증해 보곤 한다. 계산기가 항상 정확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1세대 계산과학자로 꼽히는 김재완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는 인터뷰 내내 “컴퓨터를 너무 믿으면 안 된다”고 여러번 강조했다. 이어진 김 교수의 말이 기자의 고정관념을 강타했다.“컴퓨터도 ... ...
[생활] 2015 SOFT.WARE 진로 가이드로 미래를 설계하세요!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컴퓨터과학을 필수 과목으로 지정해 교육하는 학교가 점차 늘어나고 있어요.그런데
우리나라
의 소프트웨어 현실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에요. 이현재 다음카카오 대회협력실 차장님에 따르면 미래 산업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지만 IT 관련 전문 인력은 8만명 이상 부족하다고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마무리하며 이식 박사는 독자들 앞에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꺼내 들었다. 1988년 처음
우리나라
에 들어온 슈퍼컴 1호기는 계산 속도가 지금의 스마트폰 수준이었다. 그만큼 슈퍼컴퓨터의 발전 속도가 빠르다는 것이다. 독자들은 과거의 슈퍼컴퓨터를 하나씩 들고 다니는 셈이라며 신기해 했다. 또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위험한 일에 한국이 앞장설 필요가 있을까. 현재 서아프리카에 의료진을 파견한 나라는
우리나라
와 영국, 미국과 중국 등 7개 나라뿐이다. 그 외의 국가들은 군대를 파견하거나 자금만 지원하고 있다.정 심의관의 대답은 명료했다. “시에라리온에 가장 필요한 건 의사입니다.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 ...
[과학뉴스] 국내 최초 수각류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네. 35번쯤 한 것 같습니다. 반응이 대단해 놀랐어요. 어떤 신문에는 1면에 나갔는데, 아마
우리나라
에서 공룡이 1면에 나간 건 처음이지 싶어요.Q 이번 발견이 어떤 의미가 있기에 이리 큰 주목을 받았을까요.A 다들 한국엔 공룡 화석이 없을 거라는 생각했거든요. 그래서 발자국 등 흔적 화석만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 여초시대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가능성 남아 있어그러나 아직 남아선호 사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에서 성 감별 출산이 한창이던 1990년에도 첫 아이의 출생성비는 108.5로 거의 정상에 가까웠던 반면, 넷째 아이 이상은 209.5였다. 첫 임신에서 태아가 여자라고 인공유산을 하는 일은 드물었다는 얘기다. 이런 추세는 ... ...
[과학뉴스] 가거초의 해양생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misakinosibogae ) | 흰 몸통에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져있다. 히드라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중부해역에서만 볼 수 있다.서남해의 끝 가거도 앞바다 수심 7.8m 지점에는 대형 수중암초인 가거초가 있다. 서해 냉수와 남해 온수가 섞이는 이곳에는 연산호와 갯민숭달팽이 등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심각한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부연구위원도 “매년
우리나라
에 새롭게 출시되는 전자담배를 꾸준히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주요 선진국들과 함께 참여하게 되었어요. 친구들이 어른이 됐을 땐
우리나라
기술로 만든 깨끗한 핵융합 에너지를 이용하게 될지 몰라요. 매연 없이 상쾌한 세상, 상상만해도 즐겁지 않나요 ... ...
PART 5. 중력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열릴 것이다. 운이 좋으면 5년 이내에 중력파 최초 검출 소식을 들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에도 약 20여 명으로 구성된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있다. 2009년 9월 라이고과학협력단의 검출기에서 나온 데이터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하는 연구에 참여해왔다. 아울러 차세대 중력파 검출기에 대한 ... ...
이전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