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실 현생인류가 극한의 빙하기를 견딜 수 있었던 데는 혹한의 환경에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DNA 덕분이었다. 저자는 DNA의 역사를 통해 인간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포용할 수 있는 단서를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고대 DNA가 우리는 모두 연결돼 있다고 말해주므로. ● 과학동아가 소개하는 ... ...
- 우리나라는 얼마나 잘 감축하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협정 탈퇴와 동시에 기술 개발에 완전히 손을 놓았죠. 이후 2008년, 국제유가가 급등하는데도 연료 소모가 큰 차를 개발한 GM은 시장 주도권을 빼앗기고, 파산하게 됐어요. 이를 교훈 삼은 미 산업계는 이번 파리협정 탈퇴를 두고 ‘우리는 여전히 파리협약에 참여한다(We are still in)’고 외치고 ... ...
- [보드게임] 선구자의 개발 일지 보관소 게임 설계 시작수학동아 l2020년 05호
- 3학년처음 출시한 버전은 무리수자가 없어서 게임할 때 매번 빗변을 계산해야 했다. 그런데 체험전에 가지고 나가보니 초등학생들은 무리수를 배우지 않아 게임을 즐기기 어려웠다. 이 부분을 고민하다 무리수 눈금이 있는 자를 만들면 초등학생도 쉽게 그릴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견이 나와 ... ...
-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쿼크’의 존재를 확인하는 데 기여해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마스카와 도시히데 일본 교토대학교 명예교수는 저서 ‘과학자는 전쟁에서 무엇을 했나’에서 연구자가 가져야 할 윤리 의식을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디지털 기술 없이는 어떤 일도 할 수 없는 현 시점에서 마스카와 교수의 말은 ... ...
- [한페이지 뉴스]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결과 금속이 부도체로 변했다”며 “이런 특성을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 장치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7-020-0857-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능동적 망각은 우리 뇌가 무섭고 고통스러운 기억을 지우는 기능이다. 2012년 로날드 데이비스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연구원팀은 초파리를 이용해 능동적 망각에 도파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도파민 분비 뉴런의 활성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유전자 변형 초파리로 실험을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더 강하게 굴절이 일어날 때 발생한다. 그렇게 1993년 12월 2일, 미국 우주왕복선 엔데버호는 허블우주망원경 수리를 위해 우주인 7명을 태우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향했다. 이후에도 NASA는 천문학적인 비용과 노력으로 허블우주망원경을 보수하며 운영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주왕복선만 1993년, 19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있는 최선의 방법은 퀀텀닷의 표면을 ‘잘’ 조절하는 것이다. 퀀텀닷의 기본구조는 가운데 핵심물질(코어)을 두고 그 핵심물질을 껍질(쉘)로 감싼 뒤, 그 바깥에 리간드라는 물질을 부착한다. 특히 리간드는 금속원자에 전자쌍을 제공하는 화합물로, 퀀텀닷에서는 열이나 습기와 같은 외부 ... ...
- [방구석 과학] 달고나 커피, 저을수록 찐득해지는 이유는?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만들 때 커피콩의 향과 맛을 더하기 위해 볶는 과정에서 마이야르 반응이 일어나는데, 이때 만들어지는 갈색 물질(멜라노이딘)이 커피의 맛과 향, 색깔을 만들어냅니다. 캐러멜화 반응은 높은 온도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마이야르 반응과 비슷하지만 반응하는 물질이 다릅니다. ... ...
- [SF에 묻는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vs. 사고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아이를 키우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발달심리학이나 신경과학 같은 분야에서 나온 이론으로부터 출발합니다. 이런 연구 분야를 ‘발달로보틱스’라고 하죠.미국의 SF작가인 아이작 아시모프는 로봇심리학이라는 가상의 학문을 만들기도 ... ...
이전2212222232242252262272282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