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끝이 없는 신비의 수, 무리수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고대 바빌로니아인들과 피타고라스가 오래 전 이미 ‘무리수’의 존재를 알았지만 19
세기
가 돼서야 무리수를 인정한 것처럼 말이다. √는 라틴어로 뿌리(radix)를 뜻하는 단어의 머리글자 r이 변형된 것으로 1525년 크리스토프 루돌프가 처음 사용했다.대표적인 무리수 π와 e원주율 π: 원의 크기에 ... ...
숫자로 풀어 보는 바둑의 원리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0+10=50, 점 C에는 10+8=18, 점 D에는 5+8=13이 된다. 이런 식으로 나란히 놓인 두 돌 주변의 힘의
세기
를 구하면 과 같이 된다. 이번에는 의 경우보다 두 돌의 간격을 더 넓힌 과 의 경우를 보자. 주어진 숫자의 크기를 보더라도 의 경우가 이나 의 . ...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이 같은 고민은 일부 철학자들의 몫이었지만, 가상세계와 현실세계가 융합된 21
세기
에서는 일상의 문제”라고 말했다. 무엇을 현실이라고 하고, 무엇을 가상이라고 할 것인가. 리얼리티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자신의 정체성까지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리얼리티를 재구성할 수 있게 된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화성의 모습을 담은 우주 지도와 심층 해저세계를 담은 해양 지도까지 제공한다. 아마 21
세기
형 키트가 재현된다면 화성으로 붙잡혀간 주인공을 구출하러 로켓으로 변신한다는 이야기로 전개되지 않을까.그런데 이 영상지도가 전 지구를 감시하는 파수꾼임을 자처하고 나섰다. 천 마디 말보다는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기다란 꼬리를 흔들어대며 헤엄쳐 다니는 나를, 알고 있지?사람들이 날 처음 발견한 건 17
세기
였어. 미생물의 시대를 연 네덜란드의 위대한 과학자 안토니 레벤후크가 1679년에 자신의 정액 속에서 꿈틀거리는 수백만 마리의 나를 현미경으로 처음으로 본 거였지. 레벤후크는 나를 사람들에게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차운동의 수치를 적용시키면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인, 신라시대 첨성대가 세워진 7
세기
중반의 춘분날 저녁에 남중했을 별을 계산으로 알아낼 수 있다.따라서 천 년 전 춘분 때 머리 위에 보이던 별은 오늘날 바라보는 별과 다를 것이다. 이번 관측을 통해서는 춘분날 어떤 별이 남중했는지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대표적인 것이 유전자 분석에 대한 비전이다. 그는 “DNA의 구조를 밝혀낸 지 불과 반
세기
만에 우리는 유전자를 분석해 과거가 아닌 미래의 삶의 질을 예측해 대비할 수 있는 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고 강조한다. ‘양자 계산’에 대한 기대감도 숨기지 않는다. 양자 계산이 실현되면 SF의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중 하나를 몇 조각으로 잘라서 다른 도형으로 ‘항상’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은 19
세기
에 증명됐다. 이 경우에 두 다각형의 ‘넓이가 같다’는 데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 문제들 중 어려운 패턴은 장난감으로도 많이 팔린다.그렇다면 3차원 공간에서 부피에 대해 이런 식으로 ... ...
화가는 파란색을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시절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했지요. 수백 년 전에 신성함과 부의 상징이었던 파란색이, 20
세기
에 들어서는 꿈 같은 옛날을 떠올리게 하는 환상의 색으로 그 의미가 변한 거예요. 어떤가요? 시대에 따라 색이 갖는 의미와 그 속에 숨은 과학을 잘 알 수 있었지요? 다음 회에서 또다른 그림 속 과학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뻗으면 완벽한 기하학적 형태인 정사각형과 원에 딱 들어맞기 때문이다." 기원전 1
세기
로마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는 인간의 몸이 아름다운 비례를 이룬다는 점에 감탄했다. 그는 인체의 비례를 연구해 신전 건축에 적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연구를 그림으로 나타내려는 화가들은 잇달아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