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뫼비우스 띠, 위상수학 돋보기로 다시 보자!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오일러는 7개의 다리를 건너는 흥미로운 문제로 위상수학 분야의 연구를 시작했어. 18
세기
초 독일에는 쾨니히스베르크라는 도시가 있었는데 그 중심에 프레겔 강이 흘렀지. 오일러는 ‘강에 놓인 7개의 다리를 모두 한 번씩만 건너 처음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지. 결론은 ... ...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21
세기
들어 양전자 두뇌를 갖추고 사람처럼 생각하는 로봇이 등장합니다. 이에 따라 로봇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새롭게 생겼지요. 로봇 제조 회사인 ‘US로보틱스’에서 로봇심리학자로 활동하며 평생에 걸쳐 로봇의 발달 과정을 지켜 본 수잔 캘빈 박사는 은퇴를 앞두고 한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용어와 기호를 사용하는 것, *명제를 증명하고 추측하고 발견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17
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데카르트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찾으려고 애를 썼습니다. 그 결과 데카르트는 모든 문제를 수학문제로 바꿨습니다. 문제의 규칙을 찾아 방정식으로 만들어 풀었던 ... ...
알뜰살뜰 세뱃돈 불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내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돈을 주는 풍습은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없었지요. 하지만 20
세기
초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돈으로 성의를 표시하는 풍습이 우리나라에 전해지면서 세배의 대가로 세뱃돈을 주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세뱃돈 풍습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것은 현대 화가 시작된 196 ... ...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어와 서유럽의 번영을 가져오기까지 이슬람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서기 7
세기
이후 500년 동안 이슬람은 고대 그리스의 과학과 철학을 소화해냄으로써 찬란한 문명을 건설했고 다시 서유럽에 전해 르네상스를 일으켰다.이와 비슷한 사례를 중국과 조선의 수학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대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불러 왔다. 우리말로 바꾸면 ‘얼음 대못’쯤 될까.너무 기이한 현상이라 20
세기
초부터 과학자들의 호기심을 끌어왔다. 이 현상을 연구한 첫 과학 논문은 1921년에 나왔다. 초기 연구는 어떻게 이런 얼음이 생기느냐에 대한 것이었다. 지금도 학계에서 타당한 것으로 인정받는 이론이 이때 등장했다.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WWF)의 보고에 따르면 야생호랑이는 전 세계적으로 3200마리가 남아 있다. 지난
세기
동안 호랑이 9개 아종 중에서 3개 아종이 멸종했다. 멸종한 종류는 발리호랑이, 카스피호랑이, 자바호랑이며, 현재 남중국호랑이도 멸종한 게 아닌가 추측되고 있다.이에 미국 야생동물보존협회(WCS)와 WWF와 같은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원주민 마을에 도착할 수 있었다. ‘애버리진’으로 불리는 호주 원주민의 조상은 17
세기
유럽인이 처음 오기 훨씬 전인 4만 년 전 이곳에 정착했다고 한다. 천천히 마을로 들어가자 어디선가 백인처럼 보이는 사람이 나타나 나가라고 한다. 상황을 설명했지만 “애버리진 마을이니 서둘러 이곳을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폰 브라운은 미국의 로켓 선구자인 로버트 고다드에게서 아이디어를 얻었고, 고다드는 17
세기
대포 제작자인 카지미어즈 지미노비치에게서 영향을 받았다.아레즈 1호는 이들의 자랑스런 후손에 해당한다. 가벼운 합성 재료와 향상된 엔진을 갖추고 있고 성능이 뛰어난 컴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고양이과 맹수인데도 표범이나 치타는 점무늬이고 사자는 무늬가 없는 이유가 뭘까. 20
세기
중반 현대 컴퓨터 이론의 아버지인 영국의 앨런 튜링은 ‘반응-확산 방정식’으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내놓았다. 최근엔 독일 연구자들이 동물 무늬에 대한 튜링의 이론을 실험으로 입증했다.산불 났을 때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