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국유학일기]전공, 교양, 연구까지 소방호스로 쏟아붓는 공부량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각각 2학기, 1학기 동안 수강해야 한다. 졸업 전에 물리 실험과 화학 실험 수업도 하나씩 들어야 한다. 심지어 나와 같은 컴퓨터과학 전공자들은 이외에도 자연과학 수업을 두 개 더 들어야 한다. 여기에 인문학(역사, 철학, 문학 등)과 사회학(경제, 경영, 심리학, 정치학 등) 수업에서 4년 동안 총 1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수평적 유전자 이동이 속속 발견되면서 계통수에서 서로 멀리 떨어진 가지 사이에 선이 하나 추가돼 이어지기도 했다.이처럼 유전자 분석이 발달하면서 생물의 새로운 유전적 특성과 진화 과정이 밝혀졌고, 이에 따라 분류 체계를 세우는 ‘분자계통학’이 등장했다. 다윈의 생명의 나무는 ... ...
- [딥러닝마트] 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치역)을 가지는 함수의 입력값(정의역)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두 함수는 z=c(ax+b)+d라는 하나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런 함수를 합성함수라고 부르죠. 딥러닝의 신경망 함수도 이처럼 함수의 계산 결과가 다음 함수의 정의역으로 쓰이는 합성함수입니다. 사진을 보고 어떤 동물인지 ...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보글보글 인생라면 레시피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라면 면발에도 한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꼬불꼬불하다는 점! 왜 라면의 면발은 하나같이 꼬불꼬불한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많은 양의 라면을 담기 위해서인데요, 곡선인 라면 면발 한 가닥의 길이는 평균 약 40cm이지만 직선으로 펴면 약 1.5배인 57cm나 되거든요.또 요리 시간을 줄이고, 더 ... ...
- 알콰리즈미의 나라 K-수학으로 하나 되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K-Pop을 넘어 이제 K-Culture의 시대가 열렸습니다.K-뷰티, K-드라마 등 한국형 스타일이 세상을 뜨겁게 하는 가운데, ‘K-수학’마저 먼나라에서 꽃피웠다고 ...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수학 문화를 교류하고 수학 학습방법의 변화를 이끄는 또 하나의 K-수학 한류 물결을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하면 광선검이 가장 먼저 생각난다고? 스타워즈 팬이라면 누구나 하나쯤은 소장하고 있을지도? 실제 과학기술로 이 스타워즈 광선검을 만들 순 없을까? 심지어 최근 프랑스에서는 광선검 펜싱 대회도 열렸다는데…. 광선검이 아니고 플라스마 검이다?영화 에서 ‘광선검’은 우주에서 ... ...
- 토미, 토비가 전하는 과학동아천문대 소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미션을 준비했어요. 이름하여 ‘별빛 미션’! 별빛 미션은 과학동아천문대에서 한 달에 하나씩 올리는 미션이에요.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에 접속해 질문에 대한 의견을 적으면 참가 완료! 과학동아천문대에서는 매달 가장 멋지게 미션을 수행한 친구 중 한 명을 뽑아 ‘별빛 미션왕’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시 성으로 들어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시장’을 폐렴 발생지로 지목했지요.코로나바이러스는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중 하나예요. 변이가 많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여러 종류의 질병을 일으키죠. 사람을 통해 6종, 동물을 통해 20종 이상이 전파된답니다. 우리나라도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공포에서 자유롭지 못했어요. ... ...
- [한페이지 뉴스] 로봇으로 지름 0.3mm 림프관 수술 첫 성공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회복에 필요한 1~3개월 동안 환자의 상태를 비교했다. 그 결과 림프부종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인 세포내액(ICF·intracellular fluid)의 수치가 일반적인 수술법으로 치료했을 때보다 로봇을 이용했을 때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술 3개월 후 ICF 수치는 일반 수술을 한 경우(29)에 비해 로봇 수술을 한 ... ...
- 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코로나바이러스의 진짜 정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멸종위기종이지만 중국에서는 보양에 좋다는 이유로 밀거래가 이뤄지는 동물 중 하나다.코로나바이러스가 다양한 동물을 숙주로 삼을 수 있는 이유는 스파이크 단백질 덕분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자 내에는 가장 빈번하게 재조합이 일어나는 절단포인트(breakpoint)가 있어 얼마든지 유전자 ... ...
이전2222232242252262272282292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