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콰리즈미의 나라 K-수학으로 하나 되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K-Pop을 넘어 이제 K-Culture의 시대가 열렸습니다.K-뷰티, K-드라마 등 한국형 스타일이 세상을 뜨겁게 하는 가운데, ‘K-수학’마저 먼나라에서 꽃피웠다고 ...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의 수학 문화를 교류하고 수학 학습방법의 변화를 이끄는 또 하나의 K-수학 한류 물결을 이어나갈 예정입니다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하면 광선검이 가장 먼저 생각난다고? 스타워즈 팬이라면 누구나 하나쯤은 소장하고 있을지도? 실제 과학기술로 이 스타워즈 광선검을 만들 순 없을까? 심지어 최근 프랑스에서는 광선검 펜싱 대회도 열렸다는데…. 광선검이 아니고 플라스마 검이다?영화 에서 ‘광선검’은 우주에서 ... ...
- [방학출동! 기자단2] 오감으로 느끼는 숲과 바다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정보를 얻고, 보호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도 아쿠아리스트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에요. 그래서 동물들이 이곳에서 행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 Q 아쿠아리스트가 되고 싶은 친구들을 위해서 한마디 부탁드려요!해양생물을 좋아하는 마음이 가장 중요해요. 또 동물원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진짜로 손에 잡히는 그림, 3D 펜으로 작품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런 플라스틱은 사슬이 서로 엉킨 그물 모양의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죠. 열에 의해 사슬하나가 끊어져도 다른 사슬들이 연결되어 있어 결합이 잘 풀리지 않고, 흐물흐물해지지도 않는 답니다. 이처럼 가열을 해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 플라스틱을 ‘열경화성 플라스틱’이라고 해요. 반면 가열을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처음 만난 사람에게 좋은 첫인상을 주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기사에서 중요한 팁 하나를 알려드립니다. 락캔디, 제가 직접 키워봤습니다(36p)☞바로가기 돌(rock)과 사탕(candy)을 합친 ‘락캔디’를 아시나요? 사탕을 씹을 때 돌처럼 단단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락캔디는 사실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은 “베타 코로나바이러스 범용 백신을 개발하면 백신 하나로 사스, 메르스, 코로나19 등 다양한 감염병을 동시에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반려동물에게 옮길 수 있다?1월 29일 중국의 전염병학자인 리란주안 박사는 국영방송을 통해 “코로나19 ...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기생충’이다 보니 필자까지 몇 군데서 축하를 받았는데, 실제 영화에 이바지한 게 하나도 없는지라 좀 쑥스러워하다가, 이렇게 마음을 정리했다. 봉준호 감독이 영화의 제목을 ‘기생충’이라고 할 수 있었던 데는 지난 몇 년간 기생충이 그리 나쁜 애들이 아니라고 떠들었던 필자의 공로도 ... ...
- 위아래로 접는다... 2ROUND 폴더블폰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하나는 재료를 녹여서 위에서 떨어뜨리는 오버플로우(over flow)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판을 만들 듯 옆으로 얇게 눌러 펼치는 플로트(float) 방식이다. 김 교수는 “2017년 두 방식 모두로 울트라 씬 글라스 두께를 20μm 이하로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며 “폴더블폰에 울트라 씬 글라스를 적용하면 ... ...
- 의사가 쓰고, 메디컬 일러스트레이터가 그리는 본격 의학 웹툰 ‘중증외상센터: 골든아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훈련했다.메디컬 일러스트는 의학적 지식을 이해해 세밀화로 표현해야 하는 만큼 작품 하나를 완성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홍 씨는 “첫 작품의 경우 100번 이상 수정해 완성하는 데 1년 정도 걸렸다”고 회상했다. 홍 씨는 미국미용성형외과학회(ASAPS)가 발행하는 ‘미용성형외과학회지(Aesthetic ...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암세포를 바로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서 교수는 “변이가 일어난 세포를 하나씩 선별할 수 있다면 이 세포만 제거해서 재발을 막을 수 있고, 기능이 망가진 중요 세포의 경우에는 이를 성형해 원상복구 시킬 수 있을 것”이라며 “세포 기능에 관여하는 모든 단백질 정보를 밝혀 세포를 ... ...
이전223224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