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는 초록빛 꿈을 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천연기념물), 경남 도시계획위원과 건축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국립경남과학기술대 조경
학과
교수다. 세계 도시의 녹색환경과 문화에 관심이 많은 그는 우리나라 도시 삶의 질 개선에 힘쓰고 있다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성 의학 연구자 배리 코미사룩 미국 럿거스대 심리
학과
교수. 성과 신경 손상, 통증과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한 지 40년이 됐다. 현재 럿거스대 대학원 원장을 맡고 있다.]킨제이 보고서 틀렸나코미사룩 교수는 여러모로 20세기에 활동한 미국의 성의학자 알프레드 ... ...
10만 년 된 남아공의 고대화장품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고대화장품’을 발견해 ‘사이언스’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노르웨이 베르겐대 고고
학과
크리스토퍼 헨쉴우드 박사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동쪽으로 300km 떨어진 블롬보스 동굴 바닥에 묻혀 있던 중석기시대 유물 두 점을 발견했다.유물은 발견 당시 전복껍데기로 덮여 있었고,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많이 이용된다. 그는 음악을 즐기면서 좋아하는 천문학을 잘 알려는 욕심으로 혼자서 수
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이때 익힌 수학이 컴퓨터 단층촬영기술의 원리를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한다.한편 수학책이 노벨상의 길로 인도하기도 했다. 199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마틴 펄은 도서관에서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유전체(게놈) 연구에서는 다른 흥미로운 결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배성곤 하와이대 인류
학과
교수와 한국의 게놈연구소(PGI)가 한국인 게놈으로 기원을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는데, 다른 게놈과 맞지 않는 유전자가 많이 나왔습니다. 중국인과 어떤 면에서는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지요. ... ...
자신감이 공부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가야겠지? 다들 왜 그렇게 좋은 대학 물리
학과
를 가려고 할까? 좋은 대학의 물리
학과
에 가면 교수님도 훌륭하지만 여러 가지 연구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 그런데 이런 대학에 못 가면 기회가 줄어든단다.” 현재 대입은 ‘내신+특기’로 이뤄져 있다. 상담 선생님은 내신은 기본이고 ... ...
치아로 호모 에렉투스 이동 경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러셀 치오촌 미국 아이오와대 인류
학과
교수와 야디 자임 인도네시아 반둥공대 지질
학과
교수팀은 2001년 4월 인도네시아 자바섬 솔로분지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위턱뼈 화석 ‘Bpg2001.04’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밀 측정한 뒤, 유럽과 아시아 북부 등 다른 지역 호모 에렉투스 화석과 비교해 그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개선해서 다시 중성미자의 속도를 측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박인규 서울시립대 물리
학과
교수는 “아주 짧은 시간 차이기 때문에 도선을 흐르는 찰나의 시간조차도 중요하다”며 “이런 오차를 보정하는 과정에서 60ns정도의 차이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이번 결과를 ... ...
뻥! 지구에 거대한 구멍이 뚫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3층짜리 주택이 갑자기 땅 속으로 빨려들어갔다고요?”‘어린이과학동아’ 편집국으로 이상한 제보가 들어왔어. 지진이 난 것도 아닌데 갑자기 땅이 푹! 꺼지면서 커다란 구멍이 생겼다는 거야. 그것도 도시 한복판에서 말이야. 사람들은 지구가 멸망할 징조라며 불안해하고 있어! 도대체 땅 속 ... ...
진실 넷! 행운의 숫자는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모두 같아야 한다. 로또의 공은 정말 무작위로 뽑힐까? 이점에 의문을 품은 전남대 통계
학과
백장선 교수는 ‘검정’ 이라는 수학적인 아이디어를 이용해 로또의공 뽑기가 무작위로 이뤄지는지를 살펴봤다. 검정이란 어떤 가설이 옳고 그른지 따지는 데 사용하는 통계적인 방법이다. 연구 결과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