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쥐, 인간을 구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미처 발견하지 못한 쥐에서 새로운 형질을 찾아낸 경우를 소개해 드릴게요. 서울대 수의
학과
의 성제경 교수님이 바로 주인공이에요. 아낙(AHNAK)이라는 유전자가 망가진 쥐는 겉보기엔 멀쩡하대요. 하지만 이 쥐한테는 아무리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여도 살이 찌지 않는다고 하네요. 성 교수님은 이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많은 도시인들은 편도체가 과도화게 활성화 돼 있는 건 아닐까.미국 노스웨스턴대 인류
학과
에드워드 홀 교수는 공간과 인간행동의 관계를 다룬, 1966년 펴낸 기념비적인 저서 ‘숨겨진 차원(The Hidden Dimension)’에서 타인과의 거리를 4단계로 구분했다. 즉 45cm 이내를 밀접한 거리, 45~120cm를 개인적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 책은 이런 저자의 철
학과
연구 경험을 중심으로 역학부터 양자역학, 입자물리
학과
정보물리학까지 물리학의 주요 개념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태양광의 반사 각도를 설명하면서 방향성을 고려한 물리량인 벡터를 자연스럽게 소개한다. 참신한 비유와 설명을 만날 수 있다. 상대성이란 무엇인가 ... ...
퍼팅 성공률을 높여주는 지점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단계로 올려놓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또 그는 복소함수론의 기초를 정리했는데, 유체역
학과
공기역학에서 유용하게 쓰이던 복소수를 수학의 연구 분야로 분명하게 만든 것이다. 특히 그는 함수의 개념을 오늘날 우리가 배우는 형태로 확장시켜 함수의 아버지라고 불리기도 한다 ... ...
새만큼 똑똑한 도마뱀도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이 두 마리를 각각 ‘플라톤’과 ‘소크라테스’라고 이름 지었다. 캐나다 맥길대 생물
학과
의 우리스 리페브르 교수는 “이 결과는 파충류와 조류를 비교하기 보다는 도마뱀 종류 사이의 인지능력을 비교하기에 알맞다”며 “아놀리 속의 도마뱀이 다른 종류보다 큰 뇌를 가져 빨리 배울 수 있는 것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올 수 있는 폭발력이 있으니 주목할 만하다.이제 여행을 정리해야 할 때다. 차분하게 과
학과
종교의 400년 역사를 되돌아보며 시간여행을 마무리 짓자. 철학자 버트런드 러셀의 ‘종교와 과학(동녘)’은 근대 과학이 정립되기 시작한 때부터 끊임없이 부딪히고 있는 종교와의 갈등을 조목조목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생물을 암기 과목으로 인식한다. 사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생물도 다른 자연과
학과
마찬가지로 큰 원리가 있고 흐름을 관통하는 맥이 있다. 단편적인 지식과 생물학적 현상을 잘 암기하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대학에서 원하는 학생은 생명현상을 종합적인 틀에서 관찰하고 예측할 수 있는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독일의 한 과학자는 맥주 거품을 수학적으로 연구했다. 루드비히 막시밀리언스대 물리
학과
의 아른트 라이케 교수는 2002년 맥주 거품이 지수함수에 따라 감소한다는 내용을 ‘유럽 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지수함수는 y=2x과 같이 거듭제곱의 지수를 변수로 하는 함수로, 값이 매우 급격하게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사람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메이 베렌바움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곤충
학과
교수는 “사람으로 치면 몸에 바닷가재(로브스터)만 한 기생충이 달라붙어 피를 빨아 먹는 것”이라고 비유했다. 꿀벌응애는 꿀벌의 번식 능력을 크게 떨어뜨려 6개월~2년 안에 봉군을 완전히 무너뜨린다. ...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심오함을 무조건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판할 때는 호된 표현을 쓰지만 결국 물리
학과
과학에 대한 애정에서 나온 비판이다.“첫눈에 이것(복소수가 사용된 입자파동식)은 물리학에게는 망한 설명으로 보인다. 관찰할 수 없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얼마나 슬프고 얼마나 쓸모 없는 일인가.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