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수학을 소재로 한 공포영화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차례로 보내요.옥스퍼드대에 다니는 주인공은 3가지 기호만 보고 피타고라스학파의 수비
학과
관련돼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죠. 수비학은 숫자를 주제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수학에는 속하지 않아요. 단지 숫자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죠. 피타고라스학파에선 숫자 1을 모든 것의 시작이자 완전한 수로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이런 현상도 물리
학과
응용수학으로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기초가 충실하고 물리
학과
응용수학에 재미를 느낀다면 누구나 연구할 수 있습니다. 고에너지 연구에서는 큰 온도와 압력 때문에 지금껏 밝혀지지 않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고, 새로운 방식의 기계를 만들 수 있습니다.”이미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최저등급을 적용하지 않는 이유는 과학고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최상위권
학과
를 제외하면 일반고 학생들의 합격 비율도 높은 편이므로 수학, 과학의 학생부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지원해볼 만하다. Step2. 심층면접 대비하기 논술고사를 준비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사람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메이 베렌바움 미국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곤충
학과
교수는 “사람으로 치면 몸에 바닷가재(로브스터)만 한 기생충이 달라붙어 피를 빨아 먹는 것”이라고 비유했다. 꿀벌응애는 꿀벌의 번식 능력을 크게 떨어뜨려 6개월~2년 안에 봉군을 완전히 무너뜨린다. ... ...
스트레스가 더 좋은 부모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호르몬 수치가 높으면 부모역할을 잘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즈 퀸즈대 생물
학과
의 프란시스 모니어 교수는 암컷 청둥제비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수치를 측정했다. 이 호르몬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한 종류다. 그 결과 둥지 크기가 두 배인 암컷의 호르몬 수치는 다른 암컷의 두 ... ...
“전문 항공기술의 꿈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실습을 한다. 전공 선택은 1학년 1학기말에 이뤄진다. 학생의 희망과 적성, 성적을 고려해
학과
별 배정인원을 선발한다.졸업 후 진로는 어떻게 되는가?우리 학교를 졸업하면 공군의 장기 부사관으로서 7년간 의무적으로 복무해야 한다. 졸업생은 모두 공군하사로 임용돼 특기교육 후 공군부대에서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독일의 한 과학자는 맥주 거품을 수학적으로 연구했다. 루드비히 막시밀리언스대 물리
학과
의 아른트 라이케 교수는 2002년 맥주 거품이 지수함수에 따라 감소한다는 내용을 ‘유럽 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지수함수는 y=2x과 같이 거듭제곱의 지수를 변수로 하는 함수로, 값이 매우 급격하게 ... ...
세포에서 레이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살아 있는 세포의 단백질이 내는 약한 빛으로 레이저를 만들었다. 윤석현 하버드대 의대 교수와 몰터 개더 박사후 연구원은 배아 단계의 사람 신장 세포에 해파리 ... 6월 12일 게재됐다. 윤 교수는 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로 임용됐는데, KAIST 물리
학과
를 졸업한 토종박사로 화제가 됐다 ... ...
모든 것이 가능한 물리학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심오함을 무조건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비판할 때는 호된 표현을 쓰지만 결국 물리
학과
과학에 대한 애정에서 나온 비판이다.“첫눈에 이것(복소수가 사용된 입자파동식)은 물리학에게는 망한 설명으로 보인다. 관찰할 수 없는 것을 연구하고 있다. 얼마나 슬프고 얼마나 쓸모 없는 일인가.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를 진행한 국제연구그룹 ‘스타(STAR)’에는 부산대 물리
학과
유인권 교수팀과 이창환 교수팀이 포함돼 있다(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10년 4월호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참조).‘네이처’ 5월 19일자에는 스타 그룹이 헬륨원자핵(알파입자)의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