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45건 검색되었습니다.
얼룩말의 이빨이 사람과 닮았다
팝뉴스
l
2018.04.02
‘인치 얼룩말’이라고 해야 할까. 화제의 사진 속 얼룩말이 사람의 치아와 닮은 이빨
모양
을 갖고 있다. 사진 속 얼룩말은 어딘가 낯익다. 잇몸을 많이 드러내면서 웃는 사람들을 연상시킨다. 사진은 아프리카에서 촬영되었고 먹이를 주려는 순간, 얼룩말이 얼굴을 차 안으로 디밀고 입을 ... ...
전자담배는 무해?...드러나는 과학적 단서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4.02
많다. 학계의 본격적인 검증 연구가 진척되면서 전자 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불거지는
모양
새다. • 전자담배 가미한 향료에 독성물질 多... 연기 맡은 세포 대부분 死 올해 1월부터 전자담배에 부과하는 세금이 높아져 가격도 소폭 인상됐지만, 여전히 전자담배의 인기는 고공행진 중이다. ... ...
보고도 믿을 수 없는 착시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18.04.02
궁금한 나머지 직접 이를 이용한 동영상을 올렸습니다. 흰색과 회색으로 구성된 체스판
모양
의 타일에 검은 원통이 놓여 있고, 조명이 만들어낸듯 보이는 원통의 그림자가 보입니다. 동영상 속에서는 그림자 속의 밝은 회색처럼 보이는 타일을 진한 회색처럼 보이는 위 쪽의 타일과 비교해 ... ...
[짬짜면 과학 교실] 지구의 잠버릇
2018.03.31
玄武巖)이라고 하는데 현무암의 알갱이는 분필 가루처럼 무척 작습니다. 화산의
모양
은 왜 다양할까요? 용암의 농도와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본의 후지 산처럼 경사가 가파른 화산은 매우 끈끈한 용암이 지표면을 덮으면서 식은 화산입니다. 반면 한라산처럼 경사가 완만한 화산은 묽은 ... ...
척보면 딱 아는 벚꽃, 매화, 살구꽃 구별법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크기도 커서 구분하기 쉽다. 마지막으로 살구꽃 꽃받침은 매화 꽃받침과 비슷한
모양
인데 비교적 크기가 작고, 이마저도 뒤로 활짝 젖혀져 있어 잘 보이지 않는다. 꽃받침만 봐도 세 꽃을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다. 꽃과 꽃받침이 달려 있는 작은 가지인 ‘꽃자루’가 긴 것도 세 꽃 중에 벚꽃만 ... ...
[사이언스 팩트체크] 러시아 개발 주장 ‘극초음속 순항미사일’ 사실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8
미사일이 된다. 일본 방위성이 개발한 공대함 미사일 ASM3(양 날개 아래 줄무늬
모양
)를 탑재한 F2전투기의 모습. 명명법에 따르면 공대함 미사일 ASM3는 항공에서 함대 맞추기 위해 발사하는 미사일을 뜻한다. 사진은 2015년 4~5월께 촬영된 것으로 미사일 개발 실험 중 촬영해 2018년 1월 공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범위가 너무 좁아 우리 눈에는 한자리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따라서 시간이 지나도 문신
모양
은 그대로다. 진피에 독소를 처리해 대식세포를 모두 죽여도 문신은 사라지지 않는데 혈관에서 대식세포가 바로 보충돼 문신 안료를 먹고 자리를 잡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문신이 ... ...
열대 심해 서식 ‘유령오징어’ 동해에 잇달아 출현, 왜?
동아사이언스
l
2018.03.27
붙었다. 지느러미 끝은 바늘처럼 얇고 뾰족하며, 그 아래 둥그런
모양
의 얇은 지느러미가 달려 있다. 긴팔오징어는 고래와 상어 등 해양 생물 상위 포식자의 먹이가 된다. 보통 수심이 깊은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한다. 호주 북부에서 일본 남부에 이르는 해역의 수심 200~600m 심해에 사는 ... ...
물 밖에서 죽음 맞은 고래 150마리
팝뉴스
l
2018.03.26
뭍에 나온 것이 발견되었다. 들쇄 고래들은 왜 스스로 물밖으로 나온 것일까. 해변의
모양
때문에 헷갈려 길을 잃었다는 추정이 나온다. 물밖으로 나오는 지진들의 자살 행위는 지진과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또 잠수함 등에서 사용하는 음파 탐지기가 고래의 방향 감각을 앗은 결과라는 가설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4
있는 환자가 등장한다. 이 환자가 투여 받고 있는 약의 포장재는 환자의 얼굴과 똑같은
모양
이다. 세상에서 하나 뿐인 ‘개인 맞춤용 면역항암제’이기 때문이다. 암 치료에 보편적으로 쓰이는 항암 치료는 효과가 높은 대신 부작용이 따른다. 이에 항암 치료의 대안으로 암 면역치료가 떠올랐다. ... ...
이전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