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필요하지만, 사람의 뇌를 구하기란 쉽지 않아요. 그래서 대부분 쥐나 새, 선충 등 동물을 이용해 뇌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요. 하지만 인간의 뇌는 다른 동물의 뇌와 많이 달라요. 예를 들어 고차원적인 생각을 가능케 하는 뇌의 전두엽 부위는 코끼리의 경우 전체 뇌의 10%, 파충류는 전혀 없지만,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자물쇠가 열리는 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수 있는 암호의 수는 2266개로 지금까지 태어난 사람의 수보다 많아요. 즉, 홍채 인식을 이용해 다른 사람이 자물쇠를 열 가능성은 아주 낮은 거죠. ‘삐-삐-’ 경고음으로 물건을 안전하게 지키세요!일기장이나 연애편지처럼 아무에게도 보여주고 싶지 않은 물건, 친구들은 어디에 보관하나요? ‘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생각에 따라 뇌파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이용해 손을 움직이는 상상을 할 때는 ‘예’, 간단한 암산을 하는 경우 ‘아니오’라는 의미를 주기로 환자와 약속했어요. 그리곤 실시간으로 뇌파를 측정해 환자와 의사소통을 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답니다 ... ...
- [과학뉴스] 뽀글뽀글, 합성가스 만들어내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인공 나뭇잎은 두 종류의 광흡수제로 이루어져 있어요. 한 종류의 광흡수제가 촉매를 이용해 산소를 만들어내는 동안, 다른 광흡수제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써서 수소와 일산화탄소를 만들어내지요. 또, 연구팀은 광흡수제의 효율을 높여 구름이 껴서 흐린 날에도 충분히 합성가스를 만들어낼 수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페트병을 누른 손을 떼면 빨대에서 물이 빠지며 다시 인형이 물에 뜨고요. 이를 이용해 잠수부 인형을 오르락내리락하게 만들 수 있답니다. 사람은 잠수함을 타고 어디까지 내려가 봤을까요? 바다를 가장 깊이 탐험한 사람은 미국 해군 장교 출신의 사업가, 빅터 베스코보예요. 그는 지난 5월,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그래서 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지요. 저도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뇌종양과 뇌 발달 장애 질환들의 발병 원인을 밝히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하고 있어요.뇌 오가노이드 같은 기술이 더욱 개발되면 난치성 질환의 치료제가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지요.혹시 ... ...
- [노벨물리학상] 우주의 진화와 구조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교수가 있었어요. 1964년 미국 벨 연구소에 있던 펜지어스와 윌슨은 홈름델 혼 안테나를 이용해 인공위성과 신호를 주고받으려고 했어요. 그런데 아무리 안테나를 청소하고 주변을 통제해도 강도 4.2K의 전파가 계속 잡혔어요. 이들은 잡음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과학자들에게 도움을 구했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생태원에서 연구자의 비밀노트를 작성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연구하시는 강종현 박사님과 송림 갯벌을 다시 찾았어요. 연구진이 준비한 쌍안경을 이용해 갯벌로 날아든 새를 살펴보며 자세한 설명을 들었어요. “저어새예요. 얕은 물속에서 길고 납작하게 생긴 부리를 저어가며 물고기와 같은 먹이를 찾는 것이 특징이지요.”저어새는 전 세계에 3000여 마리만 ... ...
- [과학뉴스] 알프스 빙하, 100년간 이만큼 녹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나타난 봉우리들을 단서로, 항공사진에서 지형을 분석하는 ‘모노플로팅’ 기법을 이용해 사진을 찍은 위치를 알아냈어요. 그리고 박스터 연구원이 상공 4700m에 뜬 헬리콥터에 매달려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답니다.사진 속 빙하는 프랑스에서 가장 긴 ‘메르 드 글라스’예요. 두 사진을 비교하면 10 ... ...
- [노벨화학상] 전지에 혁명이 일어나다, 리튬 이온 전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이에 1972년 당시 미국의 석유 기업에 다니고 있던 스탠리 휘팅엄 교수는 리튬 금속을 이용한 전지를 고안해냈지요. 반응성이 다른 두 금속을 전해질에 담그고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가 흘러요. 반응성이 큰 금속이 전자를 잃으면, 이 전자가 도선을 따라 반응성이 낮은 금속으로 이동하기 ... ...
이전2242252262272282292302312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