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미국 교과서에 ‘제비의 선물’로 소개된 ‘흥부와 놀부’에 등장하는 제비는 우리나라만의 이야기야. 환경이 비슷한 중국이나 일본에는 없어. 우리 조상들이 제비에 얼마나 애정이 많았고 친근하게 생각했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지. 탐사 엘리트, 동아사이언스 기자단!자랑할 게 있어.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박사는 최근 심장을 3차원 수리 모델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같은 연구 성과는 우리나라 연구자에게도 영향을 끼쳤다.자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시작된 수학 이론은 오늘날 자연의 신비한 현상 중 하나인 인체와 질병의 수수께끼를 조금씩 풀어내고 있다. 미래에는 병으로 죽는 사람이 없도록 ... ...
- [체험] 스튜디오 지브리 입체조형전 전시관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치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전시를 기획하는 게 제 일이니까요. 일본에서만 볼 수 있었던 스튜디오 지브리의 전시를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싶었죠.작품에는 수많은 장면이 있는데, 어떤 기준으로 전시할 장면을 선정하나요?사람들이 제일 감명 깊게 본 장면이 우선이죠. 하지만 여기에 기술적 제약, 금전적 ...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있는 국제 핵융합실험로(이터)가 이미 3년 늦어졌으니 2040년쯤 되겠지요. 2050~2055년에는 우리나라에서 핵융합 발전소를 보게 될 겁니다.”1989년 3월, 미국에서 소동이 일어났다. 미국 유타대의 과학자 둘이 특이한 핵융합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이른바 ‘상온핵융합’이라고 알려진 낮은 온도의 ... ...
- [hot science] 콘돔, 부끄럽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4년 12호
- HIV 신규 감염자는 연평균 250만 명을 웃돌죠. 비공식적으로는 5배 정도로 추정합니다.”우리나라도 실태는 다르지 않다. 질병관리본부가 2013년 한양대에 의뢰한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 및 행태’ 조사에 따르면, 일시적인 상대와 성관계를 가질 때 콘돔 사용률은 34.5%에 불과했다. 이는 ...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직선의 문장이 침묵을 깼다. “어제 내 아들을 만났다고요? 어떻습니까?”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선 정신병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다. 특히 가족 바깥으로 ‘추문’이 알려지는 것을 꺼려, 병원 오는 것 자체를 꺼린다. 조현병도 마찬가지다. 망설임이 길어질수록 환자는 서서히 망가져 간다.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됐다. 실용이란 오랜 전통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흐름에 도전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 최초로 컴퓨터학과를 만든 숭실대는 전통에만 안주하지 않고 또 다른 도전을 하고 있다. 봉천고개를 오르락내리락하며 기자가 만난 사람들은 역시 ‘숭실’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사람들이었다 ...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과학전문 출판사라니. ‘왜 하필 과학책인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과학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이라 답하는 최 대표의 모습은 낭만적이면서도 무모하게까지 느껴졌다. MID의 첫 작품도 낭만과 무모함 사이에서 태어났다.다른 곳에서 퇴짜 맞은 책부터 시작하다MID가 ... ...
- 앵두 VS 버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들어 있으니 먹을 때에는 꼭 주의하세요! 버찌장미과에 속하는 ‘벚나무’의 열매예요.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벚나무는 봄이 되면 하얀 벚꽃을 잔뜩 피웠다가 눈 내리듯 꽃잎을 흩날리는 봄꽃나무의 대명사지요. 5~7월이 되면 앵두와 비슷하게 생긴 버찌가 열린답니다. 버찌는 앵두와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인플레이션을 일으키고 별로 쓰는 사람이 없다는 이유로 사실상 실패로 끝났다.과거 우리나라에도 2만 원권 도입을 둘러싼 논의가 있었지만, 별로 쓰이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 때문에 없던 일이 됐다. 한국은행 발권정책팀 조재현 과장은 “수학적으로 좀 더 효율적인 액면 체계가 있다고 해도,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