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뉴스
"
조
"(으)로 총 4,667건 검색되었습니다.
NASA는 왜 민간우주기업의 우주선을 빌려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우주비행사를 2024년까지 달에 보내고 이후 화성으로 향하겠다는 약속을 다시 강
조
했다. 이어 “오늘 발사는 상용 우주산업이 미래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같은 정책은 줄어드는 정부의 우주 분야 예산에 따른 자구책이라는 지적도 있다. ISS는 미국 정부로부터 매년 최대 ... ...
美 유인우주선 '크루드래건' 우주로…정부가 기업 우주선 빌려타는 새 우주시대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0.05.31
스페이스X의 유인우주선 크루드래건을 실은 재사용로켓 팰컨9이 31일 오전 4시22분(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힘차게 우주로 향하고 ... 아닌 네 명이 탑승한다. 스페이스X의 유인 우주선 ‘크루 드래건’에 탑승한 우주인들이 계기판을
조
작하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 ...
"내년에도 정부 R&D투자 의지 변함 없어…24
조
+알파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있는데 오히려 소부장 사태 극복 경험이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했다. R&D 중요성이 강
조
되면서 예산 확대가 이뤄지고, 세제, 금융 등 다방면의 대책을 함께 펼쳤던 경험이 지금 코로나19 대응에서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코로나19를 계기로 바뀌고 있는 환경을 반영한 전략도 ... ...
"한국인 생각보다 다양하다" 1000명 게놈 분석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5.28
예측한 뒤 정확도를 비교하는 방법이었다. 그 결과 한국인 1000명 데이터를 사용했을 때 암
조
직 변이를 예측하는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한국인 1000게놈 데이터를 이용하면 게놈 연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뜻이다. 최연송 KOGIC 연구원은 “1000명 게놈 데이터의 실용적 가치를 증명했다”고 말했다. ... ...
네이처 “한국R&D 톱다운 방식에서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전환” 평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경제적 부담이 R&D 예산을 늘리는 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반도체,
조
선, 원자력 등 전통 산업은 중국과의 경쟁에 직면해 있다. 소재·부품·장비 관련 일본의 무역 공세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기술 정책 입안자들은 대기오염이나 고령화와 같은 한국 사회의 실질적인 ... ...
포스텍 AI 대학원, MS와 3D·상품추천 AI 공동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7
교수와 곽수하 교수팀은 ‘포괄적 비디오 행동인식을 위한 대중 태스크 전이 학습’,
조
성현 교수와 박재식 교수팀은 ‘3D 세계 생성을 위한 투명한 생성 모델’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팀별로 석박사생 1명씩 MSRA에 파견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를 감안해 파견 시점은 ... ...
美 유인 우주선 9년만에 쏜다...민간 유인우주선 첫 시험무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풍경도 많이 달라졌다. 미국 우주인은 발사대로 갈 때 에어스트림의 소형 버스를 개
조
한 ‘애스트로밴’을 타는 게 전통이다. 하지만 이번엔 테슬라의 전기차 ‘모델X’를 탄다. 우주복도 스페이스X가 자체 개발한 날렵한 형태의 우주복으로 바뀌었다. 이 우주복은 지구와 ISS를 오갈 때만을 위해 ... ...
[프리미엄리포트]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
2020.05.23
약 1
조
배나 작기 때문입니다. 총 에너지가 작은 사탕 하나를 약 30
조
각으로 쪼개 한
조
각만 먹으면 얻을 수 있는 1kcal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입니다. 사탕이 우주를 위협할 수는 없을 테니, 미니 빅뱅 역시 인류를 위협한 적은 없습니다. ‘아기 우주’의 기본 입자 전자와 전자가 서로를 미는 ... ...
[인간·공감·AI]"코로나19 실체 밝히는 슈퍼컴 연구, 문제는 대용량 데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김종원 지스트 AI대학원 교수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가 중요해지는 미래에 데이터가 흐르고 모여 융합되도록 뒷받침하는 인프라가 중요하다"고 강
조
한다. 동아사이언스. 미국의 ... 미래에 데이터가 흐르고 모여 융합되도록 뒷받침하는 인프라가 중요하다"고 강
조
한다. 동아사이언스. ... ...
"양자암호통신의 핵심은 '단일 광자'…생성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1
예상되고 있다. 21일 서울 중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Y-KAST
조
찬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문제는 양자를 어떻게 하나의 빛 알갱이를 뜻하는 ‘광자’로 만드냐는 것이다. 박 교수는 “단일광자원은 양자 통신기술과 양자 정보 처리에 쓰이는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