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만든 고유키로 반도체 해킹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만든 근적외선 원편광 감응 광트랜지스터보다 감도가 최소 30배 높다. 또 가시
광선
원편광만 감지할 수 있던 유기 광트랜지스터 소자들과 달리 광통신, 양자컴퓨팅 같은 차세대 광전소자에 쓰이는 근적외선 영역의 원편광을 감지할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임정아 KIST 광전소재연구단 ... ...
QLED도 친환경 필요...카드뮴 없는 퀀텀닷 왜 개발하나
2020.10.15
재료로는 광전환 효율에 한계가 있었던 태양전지, 신체 조직을 뚫고 나올 수 있는 가시
광선
과 근적외선이 필요한 바이오이미징 분야에서 퀀텀닷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실험실에서 최초로 합성한 퀀텀닷의 핵심 재료는 카드뮴이다. 카드뮴은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부드러워 ... ...
블랙홀 빨려든 별, 국수처럼 늘어났다가 초속 1만km로 흩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유럽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와 신기술망원경(NTT)의 자외선 및 엑스선, 가시
광선
관측 장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감마선 관측 위성 '스위프트' 등을 이용해 남반구의 에리다누스 별자리 부근에 위치한 2억1500만 광년 거리의 은하 중심부를 관측했다. 특히 조석교란 발생 직후부터 ... ...
지구 충돌위협 소행성 '베누' 대기권 진입할 땐 잘게 깨질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10.09
다양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니 델라귀스티나 애리조나대 교수팀이 베누에서 나오는 가시
광선
파장을 분석한 결과 표면에서 태양풍에 노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부분은 붉게 빛나는 반면 어느 정도 노출된 지점은 파란색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이 오랜 기간 태양풍에 풍화되면 모든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개의 별들로 구성됐다. 지구에서는 성간 가스와 먼지구름이 은하 중심에서 오는 가시
광선
을 가려 별을 볼 수 없다. 겐첼 소장과 게즈 교수는 먼지구름과 가스 너머를 볼 수 있는 적외선 망원경과 전파망원경을 통해 우리 은하 중심을 연구해 왔다. 은하 중심 주변 별의 궤도를 통해 겐첼 소장과 ... ...
'태양전지판에 뿌리면 오래 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9.22
바꾼다. 전지에 수명을 줄이는 자외선을 전지가 흡수해 전력을 생산하는 가시
광선
으로 바꿔주는 것이다. 유기물에는 물을 멀리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를 활용해 수분도 막을 수 있도록 했다. 유기금속을 코팅한 전지는 50~60% 습도에서도 900시간 가까이 처음 효율을 유지했다. 코팅을 적용하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감지해 뉴런이 켜지면서 갈색지방의 과도한 열생성 반응을 억제한 결과다. 그런데 가시
광선
이 생쥐의 뇌 속에 있는 POA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것일까. 연구자들은 생쥐의 뇌에 광섬유 탐침을 넣고 두피에서 거리에 따른 투과도를 조사해봤다. 그 결과 멀어질수록 빛의 세기가 빠르게 줄어들었지만,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베이킹 소다와 레몬, 치아 미백효과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시도되고 있다. 과산화수소가 함유된 약제를 치아의 변색부분에 도포한 뒤 특수
광선
을 조사해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을 이용한다. 치아미백술 후에는 일시적으로 이가 시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서덕규 서울대 치과병원 치과보존과 교수는 “미백이 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감이 ... ...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코로나19로 도시 어느 곳이 뜨거워지는 곳이 어디인지를 관찰한다. 태양에서 나오는 가시
광선
은 지표 물체에 닿으며 흡수되거나 반사된다. 코로나19로 주차장에 세워진 차가 늘어나는 등 지표면 물체들이 변하면서 도시 내 열이 흡수되고 반사하는 곳 또한 바뀐다. 연구팀은 랜드샛 위성과 ... ...
[프리미엄 리포트] 세계 최강 '울트라 블랙' 생명체
과학동아
l
2020.09.05
Idiacanthus antrostomus)의 빛 반사율은 약 0.1%로 그 뒤를 이었다. 데이비스 연구원은 “가시
광선
영역의 모든 파장대로 확대 분석하면 오네이로데스의 평균 빛 반사율은 0.051%”라며 “지상의 극락조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울트라블랙을 띠는 심해어들의 피부 시료를 가져와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