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라이트
불빛
광
빔
들보
레이저광선
뉴스
"
광선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가위 주의해야 할 우리아이 응급질환
동아사이언스
l
2025.10.03
호흡곤란 또는 얼굴이 창백할 경우 바로 119에 연락한다. 야외에서는 아이를 직사
광선
이나 차 안에 방치하지 말고 얼굴이 붉어지고 축 처지면 시원한 곳으로 옮겨 수분을 조금씩 마시게 한다. 아이가 낙상이나 사고로 다쳤을 때 골절이나 목 또는 허리 부상 등이 의심되면 움직이게 하지 말고 119에 ... ...
[과기원NOW] GIST, 차세대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하고 전하 재결합을 억제해 효율 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연구팀은 평균 가시
광선
투과율(AVT) 37.53%, 전력 변환 효율(PCE) 10.7%, 광 이용 효율(LUE) 4.01%를 달성하며 동일 조건 반투명 유기태양전지 중 최고 수준의 성능을 기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재료화학 저널A(Journal of Materials ... ...
주야간 인식·거리측정 한번에…화학연, 광대역 광센서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4
생산이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광대역 센서 소재는 가시
광선
부터 근적외선까지 전 영역을 통합 감지할 수 있어 하나의 센서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고온·고습 환경을 비롯해 수중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현재 연구팀은 8인치 이상 대면적 확장 및 센서 ... ...
자동차·태양전지 온도 낮추는 투명 냉각 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5.08.29
소모 없이 열을 우주로 방출하는 차세대 열관리 기술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필름은 가시
광선
을 투과시켜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해 표면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설계됐다. 연구팀은 실리카(SiO₂) 나노입자를 고분자 내부에 격자 형태로 정렬한 뒤 그 위에 투명한 층을 쌓는 ... ...
24억 년 전, 바다의 리즈 시절은 '초록'이었다
과학동아
l
2025.08.23
산화철이 고갈됐고 바다가 푸른색을 되찾기 시작했다. 또한 오존층이 형성되면서 가시
광선
전 영역을 포함한 백색광이 바다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덕분에 남세균은 엽록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고 이후 육지로도 진출한 남세균은 육지의 빛에 적응해 PE를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됐다. 연구팀은 ... ...
원자로 배열된 세계서 구현된 '슈뢰딩거 고양이'
동아사이언스
l
2025.08.17
없어 광학 핀셋으로 한 개씩 잡아서 원하는 위치에 배열할 수 있다. 광학 핀셋은 레이저
광선
으로 작은 입자들을 잡아 이동시키는 기술이다. 다만 광학 핀셋으로 많은 원자들을 정확히 배열하려면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AI를 이용해 원자 배열 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 ...
공작새 깃털로 레이저 만들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펄스를 가하자 맨눈으로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세기가 약한 노란색과 녹색 레이저
광선
이 탐지됐다. 구조색이 달라 미세구조도 다를 것으로 예상되는 부위에서 동일한 파장의 레이저가 방출됐다는 점도 특징이다. 구조색 연구자인 마르코 지랄도 콜롬비아 안티오키아대 교수는 이번 연구가 레이저 ... ...
'AI 눈·레이저 자'로 도심 가로수 탄소 흡수량 파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장착하고 도시를 주행하면서 거리의 가로수를 스캔하는 것이다. 라이다는 레이저
광선
을 이용해 주변 물체까지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해 나무 표면의 점을 3차원 좌표로 표현한 데이터를 만든다. 카메라는 나무의 이미지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빅데이터는 인공지능(AI)으로 분석된다. 특히 ... ...
단일 촬영만으로 정밀한 스펙트럼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이미지 촬영만으로 500~850nm 범위의 파장 정보를 필터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이는 가시
광선
과 인간이 감지하기 어려운 근적외선 일부까지 동시에 상세히 분석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정밀도도 매우 높았다. 파장 범위(500~850nm) 전체를 분석한 결과 AI가 복원한 스펙트럼 데이터와 실제 측정된 데이터 ... ...
송신·암호화 동시 처리…'100배 빠른 라이파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라이파이는 400~800테라헤르츠(THz)에 해당하는 가시
광선
대역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이론적으로 초당 224기가비트(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와이파이보다 최대 100배 빠른 수준이다. 연구팀은 보안에 취약한 라이파이의 약점을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