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
난세포
뉴스
"
난자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20년 전 오늘, 복제 양 ‘돌리’ 탄생
2016.07.04
연구 시작 돌리는 암컷과 수컷의 교배 없이 암컷의 세포 하나로 태어났다. 핵을 제거한
난자
와 암컷의 젖샘에서 얻은 체세포를 융합한 ‘핵 치환’ 기술로 수정란을 만든 것이다. 자연적으로 태어난 양은 암컷과 숫컷의 유전자를 반반씩 가진 반면, 돌리는 암컷의 유전자를 그대로 가졌다. ... ...
아빠의 미토콘드리아는 왜 자식에게 전달될 수 없나
2016.06.26
중에서 분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연구팀의 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정자는
난자
에 의해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파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가 파괴 과정에는 CPS-6이라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이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예쁜꼬마선충(C.Elegans)의 정자에서 CPS-6 ... ...
[19禁] 정자 에너지 사용하는 ‘슈퍼히어로’가 왔다
2016.05.01
과정에는 다수의 정자가 손실된다.
난자
까지의 이동거리가 짧은 쥐는 정자의 대부분이
난자
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수가 적어도 수정에 무리가 없다. 반면 코끼리는 수정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정자를 생산하고 정자의 크기를 줄이는 방식으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진화적 요인을 넘어 ... ...
이공계 ‘극한 알바’ 직접 체험해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6.04.29
크기의 난소에서 10여 개의
난자
를 얻을 수 있다. 남궁석 충북대 축산학과 교수는 “
난자
를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돼지와 소를 대상으로 한 복제 등의 연구가 활발하다”며 “말처럼 도축을 거의 하지 않는 동물로는 연구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탈모 연구에 필요한 쥐 털 길이 ... ...
염색체 움직임으로 유전질환 有無 확인
2016.04.25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
가 분열을 통해 숫자를 늘리는 중 유전자 재조합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난임이나 불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최근 8년간 국내 난임 및 불임 인구는 20만 명이 넘었으며, 이중 남성 불임은 최근 ... ...
오줌의 대변신…자기 복제하고 맞춤형 화장품까지
2016.04.15
리포트’ 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오줌에서 얻은 체세포를 핵을 제거한
난자
에 이식해 수정란을 만든 뒤 암컷 쥐에 착상시켜 쥐 4마리를 복제했다. 복제한 수컷 쥐와 암컷 쥐를 교배시켰더니 새끼가 탄생해 번식 능력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국내 한 바이오기업은 소변에 ... ...
스마트폰 ‘Home’스크린이 앱의 공동 묘지가 되는 이유
2016.04.13
선택되어 다운로드 되는 건, 좀 과장되게 말하자면, 1억 개의 정자들 중에서 단 한 개가
난자
를 만나는 것과 비슷한 확률의 영광 이리라. 그렇게 어려운 경쟁률을 뚫고 고개의 스마트폰에서 탄생한 영광의 앱은 그러나 얼마 못 가 사용자로부터 버림 아닌 버림을 받고 태어난 자리에 영원히 잠드는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심각한 결함을 지닌 여성이 아이를 갖고 싶을 때 미토콘드리아 게놈이 정상인 여성의
난자
에서 핵을 제거한 뒤 여기에 자신의 핵을 넣은 뒤 인공수정을 하는 방법이다. 기사는 이와 비슷한 처리를 해 태어난 새끼가 결함을 지니고 있다는 동물실험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즉 같은 종이지만 ... ...
[과학동아 4월호] 명견(名犬) 복제 10년, 현장에 가보니
과학동아
l
2016.04.01
2005년 태어난 세계 최초의 복제견 ‘스너피’는 123번 시도한 끝에 탄생했다. 이 교수는 “
난자
를 제공한 개와 배란 주기가 정확히 일치하는 대리모를 찾기가 쉽지 않다”며 “두 개의 호르몬 주기가 맞아떨어져야 대리모가 자궁에서 수정란을 키울 수 있다”고 말했다. 명견의 복제견은 훈련 ... ...
유전자 가위, 매머드 복원-안전한 백신의 시대 리본 자르다
2016.03.13
치료하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호주 연방과학원 연구진은 닭의 원시생식세포(정자나
난자
어느쪽으로도 변할 수 있는 미성숙 세포)를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알레르기를 없앤 달걀의 개발 가능성을 열었다. 하지만 크리스퍼 기술이 넘어야 할 산은 높다. 이 기술을 도입할 범위와 규제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