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알
난세포
뉴스
"
난자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달라 발현되는 유전자의 패턴이 다르고 그 결과 각각의 특성을 띤다. 하지만 성세포(
난자
와 정자)가 만나 수정이 이뤄지면서 후성유전학의 각인이 지워지고 수정란이 분화하면서 다시 세포마다 그 역할에 맡는 후성유전학 패턴이 형성된다는 게 기존의 이론이다. 따라서 어떤 요인으로 패턴이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편집권 ‘민주화’의 장인 셈이다. ●잘못된 유전체 편집의 결과, 유전병 생식세포(
난자
또는 정자)를 만드는 감수분열이 일어날 때 먼저 게놈 복제 된 뒤(4n) 반수체(n) 세포 네 개로 갈라진다. 이 과정에서 염색체재조합이 일어난다. 23종 염색체 모두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므로 같은 부모에게서도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실제로 연구자들은 Y염색체가 없는 변이 생쥐(XO)에 두 유전자를 넣어줘 만든 정세포를
난자
에 주입해 새끼가 태어나게 하는데 성공했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했다. 결국 엄밀히 말하면 남성성 발현은 Y염색체가 아니라 이 두 유전자의 ‘존재의 이유’인 셈이다. 사실 Y염색체의 ‘퇴화’는 오래 ... ...
임신 좌우하는 건 정자의 '포장' 기술?
과학동아
l
2014.05.13
실제로 연구팀이 쥐의 정자에서 Chd5 단백질을 없애자 쥐의 정자는 움직임이 줄어들고,
난자
를 만난 뒤에도 제대로 수정하지 못하는 등 여러 결함이 나타났다. 정자의 DNA가 손상을 입었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돼지, ‘인간화’ 되다!
과학동아
l
2014.05.09
병균이 침입했을 때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하는 유전자 RAG2를 제거하고, 핵을 없앤 돼지의
난자
와 융합해 수정란을 만든 뒤 어미 돼지에 이식했다. 이 돼지가 낳은 새끼들은 면역기능이 결핍하도록 조작(형질전환)된 유전자를 그대로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면역결핍 형질전환 복제돼지’라고 ... ...
당뇨병 환자 피부세포로 배아줄기세포 추출 최초 성공
과학동아
l
2014.04.29
얻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는 정도만 알려졌다. 차병원은 지난해
난자
에서 유래한 배아줄기세포 치료제를 안과 질환의 일종인 황반변성(망막 가운데 위치한 누르스름한 반점이 손상되는 병)과 청소년 때 실명되는 스타가르트병 환자에게 임상 적용한 시험에서 성공을 거둔 바 있다. ... ...
이 곤충, 암수 성기가 뒤바뀌었다!
과학동아
l
2014.04.24
있지만 암수가 만드는 생식세포는 다른 동물과 같다. 수컷이 정자를 만들고, 암컷은
난자
를 만든다. 교미할 때는 암컷이 수컷에게 돌기를 꽂고 정액을 가져간다. 이때 암컷은 수컷의 몸 안에서 수정에 필요한 영양소도 함께 채취한다. 교미에 걸리는 시간도 40~70시간 정도로 매우 길다. ... ...
[채널A] 세월호 희생자…DNA 확인 어떻게?
채널A
l
2014.04.21
DNA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계로만 전달되는 유전정보인 'Y염색체' DNA나 어머니
난자
를 통해서만 전달되는 특수한 DNA 분석을 통해 신원확인 정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전화 인터뷰 : 김욱/단국대 생명과학과 교수]부모가 있는 경우보다는 확률이 낮긴 하지만 희생자의 유전자 서열과 ... ...
성인 체세포복제배아줄기세포 성공, 그 의미는?
과학동아
l
2014.04.18
환자 맞춤형으로는 무용지물인 셈이다. 이 부소장은 “핵 치환 과정에서 레이저로
난자
에 구멍을 뚫는 대신 피펫을 이용해 재빨리 핵을 제거한 기술이 핵심”이라면서 “앞으로 줄기세포 제조 수율을 높이는 데 치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줄기세포계는 춘추전국시대
과학동아
l
2014.04.18
미국과 한국에서 연달아 발표되면서 배아줄기세포 분야는 대반전을 노리고 있다. 한때
난자
를 사용한다는 윤리적 문제 때문에 주춤했지만 2009년 미국이 난치병을 다스리려면 배아줄기세포도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규제를 풀면서 기사회생할 수 있었다. 이때부터 상업적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