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서┃모든 것의 시작 빅뱅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물질들이 항성이나 은하 형태로 뭉쳐 있는게 아니라 전 우주에 고르게 퍼져 있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이로써 우주는 천천히 식으면서 진화했다는 가설이 입증됐고, 빅뱅 우주론은 정설로 굳어졌다.그렇다면 최초의 특이점은 왜 뜬금없이 폭발한 걸까. 안타깝게도 빅뱅 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 ...
- 질서┃은하단과 은하군, 은하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갖고 있다. 흔히 은하단을 얘기할 때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은하를 중심으로 말하지만, 사실 은하단 내에 은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단 1%에 지나지 않는다. 이외 9%는 은하 사이에 있는 고온의 플라스마 가스고, 나머지 90%는 암흑물질로 채워져 있다. 암흑물질의 정체는 여전히 모르지만, 은하단을 ... ...
- 후보5. 실시간 계산 능력은 정어리가 최고!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마치 거대한 물고기 한 마리가 움직이는 것처럼 행동할 수 있죠. 어떻게 하냐고요? 사실 타고난 습성이라 뭐라 설명하기 쉽지 않았었는데 1987년 미국 수학자 크레이그 레이놀즈가 수학적으로 명확하게 규칙을 세워줬죠. 이 규칙을 이용해 정어리가 한 몸처럼 움직일 수 있는 알고리듬도 만들었어요. ... ...
- [수학미술관] 19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수학! 더 뮤즈 : 드가 to 가우디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보여줍니다. 가까이서 보면 그저 무수히 많은 점의 집합이지만, 조금 떨어져서 보면 그 사실을 알 수 없지요. 우리 눈에는 두 색이 섞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두 점이 각각 빛을 반사하니 탁하지 않고, 물감으로는 절대 표현 못 할 새로운 색감을 나타내요. 이처럼 쇠라를 비롯한 ... ...
- 상어가족, 물고기만 먹는 게 아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작은 어류를 먹는 줄 알았던 고래상어가 미세 조류 같은 식물도 많이 먹는다는 사실을 밝혔어요. 먹이사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표인 영양단계가 고래상어의 경우 2.7로 나타나 식물만 먹는 초식동물(2)과 동물플랑크톤을 먹는 작은 물고기(3)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지요. 연구팀은 포획한 ...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당시의 주장을 뒤엎고, 세균이 탄저병과 닭 콜레라 등의 질병과 관련이 있단 사실을 알아냈어요. 한편, 유산균의 아버지로 불리는 메치니코프는 불가리아 지방 노인들이 유산균을 섭취하면서 장수한다는 점에 주목했고, 유산균을 연구해 1908년 노벨상을 받았지요. 윤주환 차장님은 “두 사람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큰개불알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생긴 수컷 생식기의 한 부분)을 닮았다고 해서 ‘큰개불알풀’이라는 이름이 붙었지요.사실 ‘큰개불알풀’은 일본 이름인 ‘오이누노후구리’를 그대로 번역한 말이에요. 일부에서는 이 이름이 꽃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큰봄까치꽃’이라고 부르자는 의견도 있지요. 1949년 발간된 ... ...
- 백금보다는 구리, 새로운 불균일촉매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개발한 불균일촉매를 이용해 물과 에탄올에서 수소를 생산한 결과 효율이 40%에 이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지금까지 개발된 불균일촉매 가운데 가장 효율이 좋다고 알려진 백금촉매와 비슷한 수준이다.구리는 백금보다 원소 크기가 작아 티타늄을 대체하기가 용이한데다 훨씬 저렴해 ... ...
- 올챙이 꼬리 ‘이것’ 덕분에 재생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시기에는 ‘ROC(Regeneration-Organizing Cells)’라는 세포에 의해 조직 재생이 조절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꼬리 손상이 일어나면 ROC가 손상된 부위에 재배치되면서 회복에 관여하는 특정 물질을 분비해 재생을 유도한다.벤자민 시몬스 케임브리지대 응용수학및이론물리학과 교수는 “일부 동물의 재생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있듯, 우주에 다녀왔기 때문에 기억될 이름이라면 세계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이 사실상 유일할 것이다. 한국인에게 이제 우주란 아무도 가보지 못한 곳도, 그렇다고 누구나 가본 곳도 아니다. 그만큼 모두가 매력을 가질 만한 공간은 아닌 셈이다. 그럼에도 2006년 우주인 배출 사업에 지원한 ... ...
이전226227228229230231232233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