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건지도 모른다.지구 역사 46억 년에서
생물
이 등장한 시기는 지극히 짧다. 짧은 시간 동안
생물
은 어마어마하게 진화했고, 인류도 그 흐름 사이에 끼어있다.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새롭게 생겨나는 염색체와 인류가 가진 시한폭탄이 어떤 결과를 만들게 될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찾는다는 설도 있습니다.그렇다면 코끼리의 후각은 얼마나 뛰어날까요. 스웨덴 린셰핑대
생물
학과 마티아스 라스카 교수팀은 아시아코끼리 세 마리를 대상으로 후각능력이 얼마나 정밀한지 연구한 결과를 2012년 12월 학술지 ‘화학감각’에 발표했습니다. 원소의 종류나 위치가 한두 개 정도만달라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하나 없는 바다 한 가운데서 어떻게 방향을 찾아가는지는 여전히 불가사의다. 양자
생물
학의 설명방법은 이렇다. 철새의 눈에 빛이 들어가면 두 개의 라디칼이 쌍으로 만들어진다. 각 라디칼은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하나씩 갖는다. 이 두 홀전자들은 특별한 관계를 형성한다. 전자는 그 자체로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생물
은 있어도 물 없이 사는 ‘혐수성’
생물
은 존재하지 않잖아. 그만큼 물은 모든
생물
이 살아가는 데 매우 기본적인 요소인 거지. 물만 충분히 마셔도 공부가 잘 되고 살이 빠진다면 믿을 수 있겠니?두뇌회전이 잘 돼요미국 코네티컷대학교 암스트롱 박사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몸속 ... ...
세상에서 가장 큰 공룡 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5월 17일 아르헨티나 에기디오 페루글리오 고
생물
박물관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발견된 것들 중 가장 큰 공룡 뼈를 발견했어요. 아르헨티나 남부에 있는 파타고니아 사막에서 공룡 7마리의 뼈로 짐작되는 뼈 150개를 발견한 것이지요. 연구팀은 이 뼈의 주인이 약 9500만 년~1억 년 전에 살았던 초식공룡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불필요한 정보를 거르지 못하는 위험이 있다.1988년 마시에 헨네베르크 교수팀이 ‘인간
생물
학’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화석이나 유골의 두개골 크기는 최근 들어 약간씩 작아지고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중석기 시대(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로 약 1만~3만 년 전)에 두뇌 용량이 최고에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었다. 캔델은 분리파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활용했다고 주장한다.클림트는
생물
학에도 관심이 있었던 것 같다. 의학사를 연구하는 타치아나 부클리아스는 “1903년 직후 몇 년에 걸친 클림트의 작품을 보면 세포질과 세포핵을 지닌 상피세포가 떠오른다”며 “클림트가 자연에서 영감을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염색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움직이는지를 고해상도로 볼 수 있다면 수많은
생물
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STED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최근 성공하기도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예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1000만 년은 우리는 결코 만날 수 없는 시간이지만
생물
진화로 보면 ‘눈 깜짝할 새’다. 유전자 2개면 정자 만드는 데 충분하다아무리 Y 염색체가 쪼그라들었다고 해도 영영 사라지기까지 할까. Y 염색체에도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능이 있을 텐데. 그것이 바로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
역사의 기록자”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글로 남기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조장천 교수는 “신종헌터가 역사학자보다 좋은 점은
생물
역사에는 기록자의 이름, 즉 신종헌터의 이름도 함께 남는다는 것”이라며 “내가 2004년 발견한 새로운 박테리아 문(問)인 ‘렌티스페레’에는 늘 나의 성 ‘CHO(조)’가 따라붙는다”고 말했다.과학동아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