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었을까요? 지구에 생명이 태어났을 때부터 영혼이 있었을까요? 그렇다면 모든
생물
종의 90% 이상이 사라진 페름기 대멸종 때는 갈 곳 없는 영혼이 지구를 떠돌고 있었어야 합니다. 영혼도 사라졌다가 다시 생긴다? 그렇다면 환생이라고 부를 수 없겠지요.전생 체험은 쇼!제가 너무 억지를 쓴다고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하나 없는 바다 한 가운데서 어떻게 방향을 찾아가는지는 여전히 불가사의다. 양자
생물
학의 설명방법은 이렇다. 철새의 눈에 빛이 들어가면 두 개의 라디칼이 쌍으로 만들어진다. 각 라디칼은 홀전자(unpaired electron)를 하나씩 갖는다. 이 두 홀전자들은 특별한 관계를 형성한다. 전자는 그 자체로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염색체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움직이는지를 고해상도로 볼 수 있다면 수많은
생물
학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었던 뉴런의 새로운 구조를 STED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데 최근 성공하기도 했다. 뇌과학의 신비를 풀어나가는 것도 이 분야의 중요한 연구 주제다.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건지도 모른다.지구 역사 46억 년에서
생물
이 등장한 시기는 지극히 짧다. 짧은 시간 동안
생물
은 어마어마하게 진화했고, 인류도 그 흐름 사이에 끼어있다.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새롭게 생겨나는 염색체와 인류가 가진 시한폭탄이 어떤 결과를 만들게 될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찾는다는 설도 있습니다.그렇다면 코끼리의 후각은 얼마나 뛰어날까요. 스웨덴 린셰핑대
생물
학과 마티아스 라스카 교수팀은 아시아코끼리 세 마리를 대상으로 후각능력이 얼마나 정밀한지 연구한 결과를 2012년 12월 학술지 ‘화학감각’에 발표했습니다. 원소의 종류나 위치가 한두 개 정도만달라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불필요한 정보를 거르지 못하는 위험이 있다.1988년 마시에 헨네베르크 교수팀이 ‘인간
생물
학’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화석이나 유골의 두개골 크기는 최근 들어 약간씩 작아지고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중석기 시대(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로 약 1만~3만 년 전)에 두뇌 용량이 최고에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부주의 때문에 이들의 행복한 노후생활도 조만간 끝이 날지도 모른다. 1년에 150여 종의
생물
이 사라지고 있는 지구역사상 최악의 멸종사건이 현재 진행중이다. 현재 수많은 파충류들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호협약(CITES)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보호 받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수가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연구팀은 생후 6개월 된 건강한 영아 43명의 기저귀에서 미
생물
109종을 분리했다. 이 미
생물
들을 분석하던 연구팀은 ‘비피더스균’ 등 인체에 유익한 유산균 세 종을 발견했다. 유산균이 우리 몸에 좋다고 인정받으려면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선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남아 소장까지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동물이나 덩치 큰 쪽이 싸움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캐나다 퀸즈대
생물
학과 폴 마틴 연구원이 새들의 싸움을 관찰한 결과,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틴 연구원은 새 246종이 서로 싸우는 모습을 2만3362회 관찰한 결과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가까운 종에서는 덩치 큰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
역사의 기록자”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글로 남기는 사람이라는 말이다. 조장천 교수는 “신종헌터가 역사학자보다 좋은 점은
생물
역사에는 기록자의 이름, 즉 신종헌터의 이름도 함께 남는다는 것”이라며 “내가 2004년 발견한 새로운 박테리아 문(問)인 ‘렌티스페레’에는 늘 나의 성 ‘CHO(조)’가 따라붙는다”고 말했다.과학동아 ... ...
이전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