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5억 년 전 ‘지네 동물’, 뒤늦게 족보 찾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위아래를 혼동해 반대로 복원했다가 뒤바꾸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다. 그동안 고
생물
학자들은 이 동물이 과연 어떤 현생 동물과 친척일지를 두고 논란을 벌였다. 절지동물의 조상이라는 의견도 있었으나, 최근 이 동물이 길고 부드러운 몸체를 지니고 남반구에 주로 사는 육식 동물인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24년째 쓰고 있었다. 24년 동안 남들이 가지 않은 외길을 간 뚝심이 망치에서 묻어났다.고
생물
학자에게 뚝심과 끈기는 기본 덕목일 것이다. 9000만 년을 한결같이 유지해 온 화석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게 임무니까. 오지의 화석 연구자들은, 어느덧 화석의 덕성을 닮아가고 ...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설치돼 있다. 외국에서 치료제를 들여올 때까지 증상치료(대증요법)만 진행한다.
생물
안전도의 정의 및 취급 병원체의 종류 연구시설 정의 취급 병원체 예시 1등급 건강한 성인에게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 병원체로 실험 가능. 비병원성 대장균,비병원성 박테리아 등 2등급 증세가 경미하고 치료가 ... ...
‘닭벼슬’ 달린 익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발견한 익룡이 사막의 오아시스에서 무리생활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를 이끈 고
생물
학자 알렉산더 켈너 박사는 “익룡은 주로 해안가에서 발견되는데 이번 연구로 오아시스가 있는 내륙의 일부 지역에서도 서식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한 장소에 모여 살다가 사막의 폭풍이나 지독한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초등학교 때 과학전집이 날 이공계로 이끌어”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지금도 그 분이 누군지 모른다. 소포를 뜯어보니 ‘알기 쉬운 우주 이야기’ ‘재미있는
생물
이야기’ 같은 과학전집이었다. 중학교 때까지 소포는 계속 왔고, 자연스럽게 과학에 빨려 들어갔다. 당연히 이과를 가야 한다고 생각했다.Q 전자공학을 공부하기로 결심한 이유는 뭔가.경기고 재학 시절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튜링 메커니즘이 뭔지 궁금합니다.앨런 튜링 : 튜링 메커니즘은 얼룩말의 줄무늬 같이
생물
계에서 발견되는 패턴의 형성 과정을 제가 수학적으로 설명한 것입니다. 미지의 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패턴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냈죠. 저는 이런 미지의 분자들을 ‘튜링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에볼라 바이러스 중 가장 위험한 종으로 치사율이 80%에 달한다). 정용석 경희대
생물
학과 교수는 “바이러스 간에 DNA 서열 차이 3%는 굉장히 크다”고 설명했다.이 3%의 차이가 치사율을 낮췄을 가능성이 높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우리 몸에 출혈을 일으킨다. 출혈은 에볼라 바이러스의 지질막이나,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과학은 딱딱한 설명과 어려운 수식으로 된 분야일까. ‘과학동아’ 독자라면 아름다운 일러스트와 알기 쉬운 인포그래픽을 접하고 “아 ...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
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9월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제13회 ‘과학동아 카페’ 주제는 가장 핫 이슈인 에볼라 바이러스입니다. 서아프리카를 강타한 에볼라 사태는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요. 바이러스 전문가인 정용석 경희대
생물
학과 교수와 성백린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가 함께 합니다.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여전히 낯설어 하는 기자에게 조경래 교수는
생물
학자 멘델을 예로 들었다. 멘델은 완두콩을 이용한 ‘멘델의 유전법칙’으로 유명한 과학자다. 하지만 수도사였던 그가 왜 완두콩을 연구하기 시작했는지는 잘 모른다. 그저 3:1과 9:3:3:1이라는 우성·열성 비율만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