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용 디지털 카메라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필름을 대신하는 반도체칩디지털카메라에서는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이미지센서와 플래시메모리가 일반카메라의 필름 역할을 대신한다. 지금까지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사 ... 마치 그래픽소프트웨어의 확대 기능처럼 이미지센서의 전기신호를 조작해 이미지 크기를
조절
한다 ... ...
사람눈 모방한 액체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변화가 근육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연구팀의 공학자 코엔 주세는 “전기장 세기를
조절
해 0.01초만에 초점거리를 바꿀 수 있다”며 “게다가 초소형이므로 내시경 등 활용범위가 넓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사이보그(cyborg)란 말은 'cybernetic organism'에서 유래한 합성어다 즉 시스템의 통제와
조절
이라는 의미의 'cybernetics'와 생물체나 유기체를 뜻하는 'organism'이 결합된 단어다 인간과 기계가 결합된 시스템, 또는 신체부위의 일부가 기계나 전자장치로 대체돼 있거나 기능의 일부를 도움받고 있는 사람을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에 대한 논쟁도 많았다.그러나 현재는 신경계의 화학반응을
조절
하는 약물을 주로 사용한다. 항우울제인 프로작이 출현했을 때 그 효능은 가히 놀랄만했다. 프로작은 세로토닌이 시냅스에서 계속 머물면서 좋은 감정을 유발하도록 한 약물이다. 1995년 한 여성은 3주일 간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거쳐 광결정을 이루게 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이 구슬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절
해 스스로 결정을 만들게 조작했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해 12월 ‘미국재료학회지’에 주목할 논문으로 소개돼 관심을 끌었다.양 교수는 “광결정이 실용화되려면 제조에 큰비용이 들지 않아야 한다” 며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교대할 때 기관사에게 운행방법을 지시하듯이 생체는 신경교대를 이용해 신경의 활성을
조절
한다 고속증식로(Fast Breeder Reactor)란 발전을 하면서 소비한 연료보다 많은 새 연료를 생산하는 원자로를 말한다 고속증식로를 사용하면 우라늄연료의 이용률을 현재보다 약 60배 이상 늘릴 수 있다 핵분열을 ... ...
소비자 마음 읽는 독심술사 뉴로마케팅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감지해 이미지로 기록한다.사람의 뇌 중 바깥부분은 논리적·이성적인 능력을
조절
하는 반면, 안쪽부분은 감정적·직관적인 능력을 관장한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의 뇌는 주로 안쪽부분이 활성화됐다. 캐릭터를 보면서 실제로 어떤 감정을 느낀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그런데 캐릭터의 드라마화 ... ...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극명하게 보여주는 뉴미디어 세계 각 지역들의 크고 작은 네트워크들이 공동의 전송
조절
프로토콜과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통해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컴퓨터로 제어되고 만들어지는 가상세계통신 시민을 뜻하는 전자통신시대의 세계인언론사의 데스크처럼 기사나 보도내용을 ... ...
암 조기진단 가능성 청신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연구팀은 라스에프원에이 단백질이 분열된 두 세포에 염색체가 꼭 절반씩 분배되도록
조절
하는데도 관여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서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나눠져도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뀔 수 있다고 한다.2년여에 걸쳐 얻어낸 이같은 결과들을 종합해 연구팀은 “암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염색체에서 모두 발현되면 유전적 이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한쪽 유전자만 발현되도록
조절
해야 하는데, 이를 각인유전자(imprinted gene)라고 한다.단성생식으로 배아가 만들어졌다면 어머니의 염색체만 받게 되므로 각인유전자도 어머니의 것만 있게 된다. 반면 복제에 사용된 체세포는 정상적인 ... ...
이전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