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를 누빌 10kg급 초소형위성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스템, 다양한 기능시험·측정 장비를 확보했다. 소형위성은 미세한 먼지, 습도,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는 깨끗한 환경에서 제작돼야 하기 때문에 청정실도 갖춰져 있다. 또한 연구실은 과학기술부로부터 2003년도 국가지정연구실로 지정돼 20kg급 나노위성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있다. 이는 2008년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원자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속도가 느려진다. 이처럼 레이저로 원자의 속도(즉 온도)를
조절
하는 기술이 바로 레이저 냉각기술이다. 이 기술은 3천만년에 1초의 오차를 갖는 원자분수시계를 만드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원자분수시계는 현재 제일 정확한 시계다. 원자분수시계레이저 냉각기술로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변이의 한 원인은 색소를 만드는 세포가 근본적으로 다른데 있는 게 아니라 그 활동력을
조절
하는 유전자의 차이에서 비롯한다”고 설명한다. 피부색과 인종 연관 미미 이런 연구 결과는 다양한 피부색이 몇몇 유전자의 미세한 차이에서 비롯됨을 암시한다. 이 정도의 변이라면 수만년 동안에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발견이 선행된다면 새로운 차원의 신약이 개발될 수 있다. 생체시계를 자유자재로
조절
함으로써 이의 오작동에 의한 여러 부작용을 해결한 날이 열릴 전망이다.시간치료법 사례천식 폐 기능은 이른 아침에 가장 떨어진다. 천식환자의 경우 특히 이 시간에 폐 기능이 심하게 저하된다. 1989년 ... ...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작하면 뇌파가 발생한다. 전극이 이를 포착해 컴퓨터에 전달한다. 생각하면서 뇌파를
조절
하는 훈련을 받은 환자는 컴퓨터 화면의 글자를 조합해 “목이 마르다” 또는 “당신과 이야기해 좋다”와 같은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다.마치 환자가 손에 마우스를 쥐고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처럼 보이기 ... ...
3 더위가 사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고온에 노출될 경우에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다. 장기간 고온에 노출돼 체온
조절
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열에 약한 단백질로 만들어진 효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세포막이 파괴되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가장 흔한 질병은 일사병이다. 그밖에 심장질환, ... ...
라이트 형제의 인류 최초 동력 비행기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계획과 맞지 않으면 계측기가
조절
기 또는 조작기계로 신호를 보내 공정을 자동적으로
조절
·제어하는 것이다직접 측정하려는 대상에 접촉하거나 그 가까이서 데이타를 알아내어 필요한 정보를 신호로 전달하는 장치 또는 소자 이것을 이용하면 인간의 감각으로는 측정할 수 없는 수치도 잴 수 있어 ... ...
1. 우리기술로 속도 장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때 압력의 갑작스런 변화로 승객이 귀가 멍해지는 이명현상을 줄이기 위해 객실 자동압력
조절
시스템이 개발됐다. 터널이 많이 필요한 우리나라 지형 특성상 탑승객의 편의를 의해 꼭 필요한 장치라 할 수 있다.특히 고속전철이 고속으로 안전하게 주행하기 위해 신호를 주고받는 열차제어장치를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방법종이를 뜨기 위해 펄프 섬유에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기계적처리 이 처리의
조절
에 따라 섬유는 절단되거나 짓이겨져서 섬유막이 미세구조인 피브릴(fibril)로 나뉘거나, 아니면 양자의 중간 것이 된다유체역학의 한 부문으로서 기류(気流)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 음속의 1/2이상인 때의 공기는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실컷 마시고도 남는다. 그뿐 아니다. 논의 홍수
조절
능력은 물 23억t으로 국내 6개 홍수
조절
용댐 용량의 1.5배다. 논밑의 지하수 함량도 1백58억t으로 국민연간 수돗물 사용량의 2.7배다.쌀소비량이 줄고 농산물 개방 압력이 높아지면서 논의 면적이 매년 줄고 있다. 쌀의 진가가 더 널리 알려지고 다양한 ... ...
이전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