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암호화폐는 기존의 화폐를 대체하게 될까? 이 책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준다. 짧지만 다사다난했던 암호화폐의 역사 속에서 벌어진 사건들을 엮어내고,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논의돼야 할 쟁점과 이슈를 제시한다.책을 옮긴 홍성욱 한밭대 교수는 이 책을 ... ...
- [이투스교육] 정의와 불평등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집단으로, 정치적·경제적으로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의 원인으로는 선입견 및 편견, 차별을 용인하는 사회적 환경 등이 있다. 이로 인해 나타나는 차별은 사회적 약자의 기본적인 권리를 침해하고, 정의로운 사회 구현을 가로막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추측하고 있답니다. 즉, 외계행성 연구는 곧 외계생명체에 대한 단서를 찾는 연구이기도 한 거예요. 현재까지 발견된 외계행성은 3743개에 달하지요. 나탈리 배탈하 박사는 지금까지 가장 많은 외계행성을 발견한 ‘케플러 프로젝트’의 총 책임자예요. 케플러 ... ...
-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한 걸까? 혹시 대기권을 넘어 우주까지 높이 지을 수는 없는 걸까? 초고층건물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 어디까지인지 살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Part 2.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조금 더 두꺼운 작대기를 돌린다면 최소 넓이는 어떻게 바뀔까요?신기하게도 이 문제에 대한 연구도 이미 있습니다. 폭이 1m고, 높이가 xm(x는 1보다 매우 작은 양수)인 직사각형 작대기를 돌리기 위해서는 넓이가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 증명돼 있습니다. 좁은 방에서 소파 돌리기이번에는 작대기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합니다. 여러분 이 어려워하는 ‘수학적인 정의’부터 말하면 원주율은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이에요. 쉽게 말해 원의 지름에 π를 곱하면 정확히 둘레의 길이가 나온다는 뜻이지요. 여기서 중요한 건, 원의 크기에 상관없이 이 비율은 똑같고 π가 ‘무리수’라는 점이에요. 그런데 π와 ... ...
- [과학뉴스] 월드컵 우승국은 스페인? AI 예상 결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나이, 이전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선수 활약 등 팀의 경기능력과 선수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다량의 정보를 정리했다. 이후, 10만 회에 이르는 축구 경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우의 수를 따졌다. 팀 별로 각 라운드에서 생존할 확률은 물론, 가장 가능성이 높은 순위까지 예측했다. 이 AI는 F그룹에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그 근거였다.결국 한국에서만 발견된 항아리곰팡이가 해외로 퍼지면서 해당 곰팡이에 대한 면역체계를 갖추지 못한 현지 양서류의 대규모 괴사를 불러왔다는 것이다.공동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가 아시아의 양서류 수출 중단이 필요한 강력한 증거라고 주장했다.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혈통의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로봇이 대신 행동하는 기술)나 인간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 등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정 교수는 매년 10월의 마지막 토요일,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소도시의 도서관에 가서 과학강연을 기부하는 ‘10월의 하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했으니 올해로 벌써 9년째다.그는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늘었다”며 “결국 알고리즘을 간소화시킬 필요성을 느꼈다”고 밝혔다.그는 이에 대한 해답을 물과 땅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그래픽 기술인 ‘디스턴스 필드(Distance Field)’에서 찾았다. 수심이 깊은 바다에서 육지로 이어질 때 디스턴스 필드를 적용하면 수심이 차츰 얕아지다가 땅이 ... ...
이전2322332342352362372382392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