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양이를 사랑하는 과학적 방법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직접 고양이를 키우는 저자가 경험한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과학적 정보 사이에 녹아들어
책
에서 눈을 떼기 어렵게 만든다. 곳곳에서 드러나는 유머 가득한 문체도 고양이의 복잡다단한 특성을 쉽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얹는 것이 아니라, 먼저 흙을 다져 단단하게 기반을 쌓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말이죠.”
책
을 좋아해서 소설이든 위인전이든 가리지 않고 읽던 교수님은 무엇이든 끈질기게 파고드는 집중력을 발휘해서 화학자의 길을 걷게 됩니다.화학은 요술쟁이?! 교수님은 언제나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 것을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소행성이 존재하지 않는 곳으로 다니엘 커크우드가 ... ...
4. 리듬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미적 긴장감’이라고 말한다. 우광혁 교수는 ‘무용의 동작과 리듬’이라는 그의
책
에서 “미적 쾌감과 긴장감을 번갈아가며 잘 연출해야 훌륭한 작품”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음악은 춤의 동반자춤과 음악은 이런 공통점 덕분에 함께 발전해왔다. 실제로 우리에게 익숙한 춤 이름이 곧 음악 ... ...
1. 백조가 더 이상 여자일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민족에 따라 의미가 다를 수 있다.춤도 마찬가지다. 영국 언어철학자 넬슨 굿맨은 그의
책
‘예술의 언어’에서 “전세계 공용어가 없듯이 세계 각국의 무용은 서로 성격이 다르다”고 적고 있다. 그래서 춤도 해석이 필요하다. 동작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알고 제대로 번역해야 춤을 이해할 수 있는 ... ...
이공계를 선택하면 행복해집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들어있다. 수시 1학기 전형을 마친 고3 학생들을 위해 수시 2학기, 정시 시험을 위한 대비
책
부터 자신에게 정말 이공계가 적성에 맞는지 알아보는 ‘내게 맞는 적성검사’, 이공계 진학 정보 리스트 등이 있다.과학동아 8월호에 소개된 국내 과학자들의 ‘이공계 진로 만족도 조사’에 대한 더 상세한 ...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지원하는 프로테오믹스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이끄는 단장으로 말이죠.30여 명의 연구
책
임자들과 함께 수많은 프로젝트를 해 내며, 프로테오믹스 연구의 밝은 미래를 만들고 있는 단장님의 리더십은 정말 대단하죠? 오랜 노력의 결과, 단장님이 쓴 논문들은 세계적인 학술지에 실려 인정을 ... ...
산업의 쌀을 빻는 방앗간 지기 - (주)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황.철.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영업직원이 망가뜨려 버렸으니….”당시 공장의 연구원들은 ‘정말 고맙게도’
책
임을 묻지 않았다. 오히려 그 사건을 계기로 관계가 더욱 돈독해졌고, 그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할 때 값비싼 장비를 기꺼이 빌려 주었다. 이 때의 경험이 황사장이 주성엔지니어링을 세계적인 반도체장비회사로 ... ...
기상천외한 생물들이 여기 다 있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길이가 15~90cm에 이르는 이 벌레는 때로는 사람에게도 기생한다고 한다.일본에서 이
책
한 권으로 ‘생물 연구계의 이단아’라는 평가를 받은 저자는 “이들도 엄연한 지구 생태계의 일원”이라며 오히려 “그들이 우리를 보고 이상한 생물이라고 하지 않을까”라고 반문한다. 일러스트레이터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사회학과 배리 글래스너 교수는 자신이 쓴 ‘공포의 문화’라는
책
에서 어처구니없이 과장된 걱정거리들을 조목조목 짚어내고 있다. 그 중 하나로 글래스너 교수는 미국인의 건강을 다룬 기사들에서 인용한 통계자료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1996년 한 해 동안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