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적
도서
book
저서
책자
서책
북
d라이브러리
"
책
"(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차 시각피질은 뇌 뒷부분인 후두엽 쪽에 있으며, 시각자극을 제일 먼저 처리하는 곳이다.
책
을 볼 때 뉴런은 망막으로 들어온 빛 정보를 일종의 전기신호로 바꾼다. 이 신호는 전용 케이블, 즉 신경망을 따라 시속 500km로 달려 1차 시각피질에 있는 뉴런들에게 전달된다. 시각피질의 뉴런들은 ... ...
대학 교수에게 물리 과외받기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물리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해 독자들의 머리 속에 쏙쏙 넣어준다. 마지막에 있는 '
책
을 다 읽고나서' 코너는 결코 놓치지 말자. 물리학자들이 '찍어준' 중요한 실전 문제인 만큼 시험에 대비할 때 효과적이다. 한국물리학회ㅣ 1952년에 창립돼 물리학의 응용·보급에 이바지해 왔다. 현재 11개의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연구는 비판을 받았지만 하비는 그것들을 무시했다. 나중에 71세가 됐을 때 그는 작은
책
을 통해서 그런 비판에 답했다. 하비가 1628년 ‘동물의 심장과 피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를 출간한지 21년이 지난 후였다.지금 하비의 이론은 상식이 됐다. 유치원에서 아이들에게 사람의 몸 속을 처음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TV나 컴퓨터가 많아 깊게 생각하기 어려운 것 같다”며“그렇다고
책
을 많이 읽으라는 것이 아니라 그림을 보든 TV를 보든 좀 더 깊이 생각하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하셨어요. 무엇이든 남의 생각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말고 스스로 생각해 보라는 것이죠 ... ...
X선이 되살린 아르키메데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대한 내용을 알아볼 수 없었다.미국 원형가속기방사광연구소 과학자들은 이
책
에 X선을 쏴 아르키메세스를 다룬 부분을 찾아내는데 성공했다. 10세기 잉크에는 철 입자가 있어 X선을 만나면 형광빛을 내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이 기술이 앞으로 잊혀진 저작물을 찾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최근 자신이 찾은 비경을 모아 ‘지구의 생명을 보다’(원제 ‘Extreme Earth’, 휘슬러)라는
책
을 펴냈다. 지구의 극한 지역을 지면에서 감상해 보자. 원초적인 지구물은 지구에 극단적인 두 얼굴을 만든다. 물이 풍부한 곳은 식물과 동물, 온갖 곤충으로 가득한 생명체의 천국이 된다. 비가 내리지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넘나드는 독특한 글을 한 중앙 일간지에 2년 동안 연재해 화제를 낳았다. 그 글들을 모아
책
으로 펴낸 것이 이번에 나온 ‘과학으로 세상보기’다.“어렸을 때는 할머니 손에 이끌려 절에 다닌 기억이 납니다. 학교를 다니면서 불교에서 관심이 멀어졌죠. 산 속에만 있는 종교라는 생각이 많이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이다. 끝으로 1966년에 발표된 리차드 그레고리 박사의 ‘눈과 뇌’라는
책
의 한 구절을 인용한다.“우리는 본다는 사실에 너무 익숙해 시각체계라는 것에 우리가 풀어야 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는 사실을 쉽게 납득할 수 없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우리는 눈의 망막에 조그마한 뒤집힌 상을 맺고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나와 백인과 흑인 용의자 중 분명히 흑인이 살인을 저지른 것을 봤다고 증언한다.
책
이나 영화에서 범죄자로 나온 흑인에 대한 기억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잘못 재구성해낸 것이다. 이를 ‘오기억’이라고 한다. 기대, 고정관념, 편견 등이 바로 오기억의 산물이다.교사가 새로운 지식을 가르친 다음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참 많이 냈다. 어렸을 때 읽을만한 천문학
책
이 없어서 아쉬웠기 때문이란다. 이번에 낸
책
이름은 ‘아인슈타인과 호킹의 블랙홀’이다. 블랙홀에 관한 한 2명의 천재가 있는데 알버트 아인슈타인과 스티븐 호킹이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은 블랙홀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고 호킹은 불랙홀에서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