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iology
뉴스
"
바이올로지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탓에 상어 개체수 줄고 몸집도 작아져
연합뉴스
l
2019.08.08
얻은 결론을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의 오픈 액세스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 원(PLOS One)
바이올로지
'를 통해 발표했다. 인구 1만명 이상 도시와 어시장, 상업 어로 수역에 가까운 곳에서 상어의 개체수가 심각하게 줄었을 뿐만 아니라 몸집도 작아졌다는 것이 골자다. 상어를 비롯한 해양 ... ...
'아재개그'를 향한 가식적 웃음도 재미를 느끼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들은 다른 사람들도 재미있게 느끼게 된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2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실었다. 대드 조크는 짧은 말장난으로 이뤄진 농담으로 아버지들이 하는 시시한 농담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연구팀은 ‘눈이 없는 사슴은? 노 아이디어’ ‘마이클 잭슨의 청바지 판매점은? ... ...
"한 살배기 때 장내미생물, 유아기 천식·알레르기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등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마이크로
바이올로지
' 22일자에 발표했다. 천식과 알레르기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의심되는 지방산은 '리포카인(12,13-diHOME)'이다. 이 지방산은 원래 인체 내에서도 리놀레산이 대사하는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생긴다. 특히 ... ...
병원균 단백질 구조만 바꿨을 뿐인데…내성·독성 없는 항생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내성균 위험이 적은 새로운 항생물질 2종을 개발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 9일자에 발표했다. 항생제는 세균이 다른 세균과 경쟁해 우위를 점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내놓는 물질이다. 사람은 이 항생물질을 약으로 개발해 병원균에 감염됐을 때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현재 ... ...
간세포에 숨어든 말라리아 생존 비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8
사람의 유전자 최소 100개를 이용해 자기를 감춘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케미컬
바이올로지
' 27일자에 발표했다. 말라리아는 말라리아원충균에 감염된 얼룩날개모기 암컷에 물렸을 때 감염되는 전염병이다. 모기에게 물리고 나서 오한,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수 주~수 개월이 ... ...
美서 첫 사망자 공식 확인한 ‘대변이식술’은 어떤 치료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디피실에 감염되 위막성대장염이 발생한 장은 누런 고름이 잔뜩 생긴다. 네이처 마이크로
바이올로지
제공 대변이식술을 하기 앞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건강한 똥’을 찾는 일이다. 건강하지 않은 똥을 이식했다가는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대변이식술용으로 대변을 제공하고자 ... ...
가장 풍부한 포도당을 바이오연료로 바꾸는 고성능 미생물 공장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9
미생물 균주와 발효 공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 6월 1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상엽 교수 연구팀은 언젠가는 고갈될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바이오 기반 재생에너지를 연구해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폐목재, 잡초 등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 ...
돌연변이 DNA 찾아 고치는 새로운 효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공유결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 온라인판 17일자에 게재됐다. 사람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는 유전정보를 DNA 형태로 담고 있다. DNA가 복제를 하는 과정에서, 또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DNA에는 돌연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
과학동아
l
2019.04.29
가로질러 아메리카 대륙까지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 4월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1년 페루 동부 해안가에 위치한 사막에서 발견한 화석을 분석했다. 페레고세투스 파시피쿠스(Peregocetus pacificus)로 명명한 이 화석은 약 4260만 년 전에 살았던 원시 ... ...
세포 분비 물질로 심근경색 치료…세포 치료 패러다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권익찬 KIST 테라그노시스연구단 책임연구원(왼쪽) 이 '절친' 동료연구자인 최귀원 바이오닉스연구단 책임연구원(오른쪽)과 서 있다. 권익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 세포가 엑소좀을 만들어 내보내 세포끼리 교신하는 과정을 그린 일러스트. 저널오브 셀
바이올로지
제공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