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iology
뉴스
"
바이올로지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서울대, 뼈 속 칼슘 축적되는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새롭게 수정할 근거가 되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문대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
바이올로지
전공 교수와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과 교수. 김용현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는 20일 나노물질의 초기 성장과정을 설명하는 성장 이론을 일부 수정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교과서에 실린 ... ...
‘빛 지문’ 외계행성 정체 밝힐까
과학동아
l
2018.09.12
GIB 제공 미국 코넬대 연구팀이 ‘빛 지문’을 이용해 태양계의 19개 천체에 대한 참조 목록을 제작했다. 19개 천체 목록에는 태양계 8개 행성과 행성에 ... 분석하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아스트로
바이올로지
’ 7월 31일자에 게시됐다. doi:10.1089/ast.2017.176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입증하는 실험에 들어갔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이듬해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그 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이쪽 생리(‘네이처’나 ‘사이언스’가 아니다!)를 아는 사람이라면 어떤 결과일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실망스럽게도 네안데르탈인 두 명의 FOXP2 염기서열은 ... ...
‘日 귀요미’ 마리모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09.04
Dora Cano-Ramirez, Ashutosh Sharma 제공 녹조류인 ‘마리모’는 테니스공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 덕분에 주요 서식지인 일본에서 사랑받는 생물이다. ... 리듬이 마리모의 광합성 효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 8월 2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ub.2018.05.09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동물, 판형동물은 단일종이 아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1
분명히 다른 두 개 종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발견해 31일(현지시각) 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외향은 차이가 없지만 분명히 다른 종으로 구분된다는 것이다. 히스톤(Histon) 단백질은 염색체를 구성하는 단백질로, DNA가 이 히스톤 단백질을 감아 모양을 유지한다. 히스톤 단백질에는 ... ...
꿀벌이 새 여왕 뽑는 기준은 가족보다 ‘왕족’
과학동아
l
2018.07.27
여왕벌이 갑자기 죽으면 일벌은 새로운 여왕벌로 자랄 유충을 자신이 속한 가족이 아닌, 기존 여왕벌과 근친도가 높은 ‘왕족’에서 고른다는 ... 진화과정에서 살아남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 7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one.0199124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유전자를 지니고 있어 이런 군체를 형성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 ‘커런트
바이올로지
’ 제공 암은 단세포성으로의 회귀 다음으로 흥미로운 내용은 암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이다. 암세포는 세포의 성장과 유지, 사멸(죽음)을 조절하는 정교한 시스템이 무너진 결과 제멋대로 행동하는 ... ...
젊은이의 흰머리, 유전자 돌연변이 탓
과학동아
l
2018.06.04
희게 만드는 유전자가 면역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 5월 3일자에 발표했다. Public domain 제공 머리카락이 새로 날 때 모낭 밑에 있는 줄기세포가 멜라닌세포를 만들어 머리카락에 색소를 공급한다. 만약 줄기세포가 사라지면 멜라닌세포가 생기지 않아 ... ...
식물은 이렇게 늙는다...노화 속도 조절 메커니즘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5.24
크게 증가하는 것을 증명했다. 황대희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 부연구단장(현 DGIST 뉴
바이올로지
전공 교수)은 “NAC 유전자의 전사조절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작용 방식을 알아냈다”며 “시간에 따른 식물의 노화 진행을 보다 역동적인 시스템으로 규명할 수 있을 것 ”고 말했다 ... ...
폐기물 수거대란, 해결책은 과학기술 vs 시민의식?
동아사이언스
l
2018.04.06
애벌레가 비닐 봉지를 먹고 분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지난해 4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에 발표했다. 당시 페데리카 베르토치니 CSIC 박사는 “비닐봉지에 애벌레 100마리를 넣어두자 40분만에 구멍이 났다”며 “12시간 뒤에는 봉지 무게가 92mg 줄었다”고 설명했다. 이승희 학회장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