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3. 터치스크린과 에어백에 숨은 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감도가 좋고 응답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성능을 위주로 하는 군수용, 의학용이나 천체
관측
용으로 사용된다.열형은 상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비냉각형이라고도 불리고, 양자형에 비해 가격이 저렴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된다. 현재 성능이 우수한 비냉각형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때문에 우주선은 모든 센서의 집합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우주선에서
관측
한 여러 종류의 자료가 엄청나게 많다. 이들 처리에는 초대형 컴퓨터가 필요한 상황이었지만 NASA는 다른 방향을 모색했다.
관측
자료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비용을 줄일 수 있기 위해 센서와 컴퓨터를 하나로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높이 빛난다. 현재 9등급대의 밝기여서 맨눈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쌍안경을 사용하면
관측
이 가능하다. 소행성을 쌍안경으로 보더라도 다른 별들과 똑같다. 그러므로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소행성과 별을 구별하는 방법은 소행성이 날마다 조금씩 위치를 바꾸는 점에 착안하면 된다 ... ...
극지대 연구용 로봇 비행기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도움이 된다.에어로존드는 멀리 떨어져 있거나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에서 기상
관측
소 역할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5년 개발에 착수해 1998년 완성됐다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솟아 있는 시각을 보편적으로 의미한다.마찬가지로 ‘자정’이란 해가 지구를 중심으로
관측
자의 반대편에 있는 한밤중을 의미한다.여기서 별들이 매일 서쪽으로 1°씩 치우쳐 간다는 말은 별들이 매일 1°만큼 동쪽에서 일찍 떠오른다는 말과 같다. 즉 별들은 매일 약 4분씩 일찍 뜬다.따라서 문제(2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심해생물을 찾아서 세계일주탐험에 나선 것은 1872-1876년의 일이다. 챌린저호는 여러 가지
관측
기기와 채집기구를 사용해 그때까지 상상의 세계에 머물러있던 수천m 해저의 심해생물을 조사했다. 범선을 이용한 심해생물 탐험의 시대는 1950년대 소련과 덴마크에 의한 생물조사로 막을 내린다. 그 후의 ... ...
다이슨의 상상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과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그리고 있다. 2장은 입자물리학, 우주과학,
관측
천문학, 생물학 등의 변천과정과 미래의 발전가능성을 통해 과학발전의 일반적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3장은 유전공학과 컴퓨터기술 등의 예시를 통해 미래 기술발전의 예측과 기술의 윤리적 측면에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고도가 16°를 넘는다. 하루하루 수성의 위치를 그려보며 궤적을 밟아보는 것도 흥미있는
관측
이 될 것이다.극대기 막바지인 태양을 보자태양의 흑점은 11년의 주기를 가지고 변화한다. 지난 1989년 태양은 활동 극대기를 맞아 왕성한 활동을 보였으며, 그 무렵 흑점도 크기면에서나 개수면에서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요청한다.초소형 항공기는 계속 상공을 맴돌면서 지원사격중인 포탄의 명중여부를
관측
한다. 만일 정밀한 공격이 필요한 경우라면 초소형 항공기에 탑재된 유도장치를 해당 목표에 투하하고 유도무기로 공격한다. 아군의 희생은 전혀 필요없다.안전하게 목표건물에 근접한 소대장은 오니솝터형 ... ...
③ 망망한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세렌딥(SERENDIP), 하버드대의 베타 등이 있다. 특히 세렌딥 프로젝트는 전파망원경에서
관측
한 엄청난 자료를 일반인 컴퓨터의 화면보호 상태에서 분석하는 세티앳홈(SETI@home)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4월 17일 현재 3백만여명의 일반인이 참여하는 최대 과학프로젝트다. 누구나 인터넷(setiathome.ssl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