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실제 사물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검증’할 수 있잖아요. 자연과학은 실험 또는
관측
의 대상을 갖고 있습니다. 새를 연구하는 조류학자에게는 날아다니는 두루미가 그 대상이 될 수 있고, 소립자를 연구하는 입자 물리학자에게는 전자나 양성자가 그 대상이 될수 있을 것입니다. 반면 수학은 ... ...
빅뱅 이전을 다시 말한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옳은지 말할 수 없다. 하지만 두 이론에서 나오는 중력파가 다른 종류이기 때문에 앞으로
관측
기술이 더욱 발달하면 두 이론의 생존 여부가 판별될 것이다 ... ...
왕초보도 찾는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목성의 밝은 빛살 때문에 볼 수 없다. 대신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4대 위성을 쉽게
관측
할 수 있다.4대 위성은 목성의 적도면에서 매우 가까이 공전하므로 한줄로 늘어선 모양을 하고 있으며 목성면의 앞뒤를 반복해 지난다. 구경 1백mm 이상 되는 망원경으로는 위성이 목성면을 통과해 그림자가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알아본 다음 영릉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세종대왕 시대에 나왔던 수준 높은 천문
관측
도구에 대해서 과학적으로 탐구했다. 그리고 세종전에 들러 서책류, 악기류, 기록화, 화포, 과학기구 등을 관찰하는 것으로 탐방을 끝내고 서울로 다시 향했다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축구장 크기만한 크레이터가 생기게 된다. 이때 우주로 분출되는 물질과 얼음 파편들을
관측
하면 혜성의 깊숙한 내면을 밝힐 수 있을 것이다.지금까지 살펴본 계획들은 우주생물체를 밝혀내기 위한 걸음마에 불과하다. 더욱 먼미래에는우리태양계를 넘어서 다른 항성계에‘생명 조사단’을 ... ...
허블 은하충돌사건의 단서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충돌사건이 있었다면 M82는 M81과 충돌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이번에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
한 은하 M82에서는 거대 성단의 정체가 이번 사건을 해결하는 결정적인 단서가 됐다. 이번 연구팀을 이끌었던 영국 케임브리지대의 리차드 드 그리지스 교수는 “ M81과의 충돌은 조용하던 정상 은하 M82에 ... ...
미르 남태평양서 15년 일생 마감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폐기지점에 추락했다. 미르의 한반도 통과가 낮 시간대에 이뤄졌기 때문에 망원경으로
관측
되지는 않았다.한편 지난 97년 우주화물선 충돌사고 후 미르에 1백98일간 머물면서 보수작업을 했던 우주비행사 파벨 비노그라도프는“마치 정든 집을 태우는 것 같은 생각이 든다”고 서운함을 감추지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유성군은 많은
관측
가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22일에는 달을 거의 볼 수 없기 때문에 유성
관측
에 가장 방해가 되는 달빛이 없다. 즉 하늘만 맑다면 유성을 보기에 가장 좋은 기회다. 새벽 동트기 전에 동쪽하늘을 수놓는 거문고자리를 향해 눈길을 돌려 별똥별을 향해 자신의 소원을 실어보내자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이후 지난 1년 동안 탐사선은 에로스 주위를 계속 맴돌면서 영상을 비롯한 각종
관측
자료를 얻었다. 착륙직전까지 탐사선은 소행성 표면영상을 16만장이나 찍어 지구로 보내왔다. 이는 예상보다 10배나 많은 자료였다.이번 착륙 미션은 원래 계획에 없던 것이었다. 에로스 탐사계획은 지난 2월 14일로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지형에 그림자가 생겨서 보기 쉽다. 특히 달의 어두운 경계부분 지형이 두드러져 보인다.
관측
명소 베스트 5(1)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 (지름 93km, 깊이 3천7백60m, 중앙 봉우리 1백20m, 관찰하기 좋은 월령 9-24일)달의 적도 바로 위쪽 ‘폭풍의 바다’에 있으며 크레이터 가운데에는 1백20m 높이의 봉우리가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