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리듬 시그널] 정보의 바다에서 데이터 찾기, 탐색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이용하는 사이트에서 내 정보를 찾는 일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면 아무도 그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을 거예요. 다시 도서관으로돌아가 보죠. 만약 수학동아를 찾고 싶은데 책이가나다순으로 정리돼 있다면 굳이 첫 칸부터 볼 필요 없이 ‘ㅅ’으로 시작하는 책장으로 바로 가면 돼요. 책이 정리돼 있지 ... ...
- [과학용어] 지오펜싱 ·외핵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核)’이 합쳐진 단어예요. 내핵(內核)은 안쪽 핵을 뜻하죠. 지구 내부 구조는 지진파를 이용해 구분할 수 있어요. 물질의 상태에 따라 지진파의 속도가 달라지거든요. 외핵은 고체만 지나갈 수 있는 S파가 통과하지 못해 액체 상태인 것으로 추정해요. 한편 내핵에선 모든 매질을 통과하는 P파의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않는 성질을 ‘가소성’이라고 하지요. 하지만 가소성이 나쁜 것은 아니에요. 가소성을 이용하면 물체를 내가 원하는 모양으로 만든 뒤 그 모양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거든요. 금속판을 세게 구부리거나 두들겨 쉽게 변형되지 않는 튼튼한 자동차를 만드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답니다. 미션1. ... ...
- [과학뉴스] NASA, 블랙홀 영상 공개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빨아들이고, 주변의 시공간 또한 휘게 만든다. NASA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블랙홀의 시공간 왜곡 현상을 시뮬레이션 했다. 영상 속 블랙홀은 올해 4월 국제연구협력프로젝트인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연구팀이 처녀자리 A 은하 중심에서 최초로 관측해 낸 블랙홀 M87*의 ... ...
- [과학뉴스] 영화 속 남녀 캐릭터, 편향성 분석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연구진이 컴퓨터 비전 기술을 이용해 영화 속 남녀 캐릭터 묘사의 성(性) 편향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이병주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팀은 2017~2018년 개봉한 국내외 상업 영화 40편에서 남녀 캐릭터가 각각 어떻게 묘사되는지 8가지 새로운 기준으로 분석했다. 이 교수팀은 얼마나 ... ...
- 50년 만에 첨단 CG로 부활한 거대 타조공룡 데이노케이루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들의 모습을 엿볼 뿐이다. 여기저기 부서지고 변형됐으며 일부는 손실된 골격을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최선의 기술을 동원해 복원하는 과정은 필자에게는 새로운 도전이었다. 이항재충남대 지질학과에서 고생물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남 하동의 중생대 악어 두개골 연구로 석사학위를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움직이는 별의 미약한 변화까지 검출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했다. 이런 첨단 분광기를 이용해 지구처럼 질량이 작은 외계행성도 발견되고 있다. 관측 자료는 행성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밑거름이 되고 있으며, 특히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구형 행성도 수십 개 발견돼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손목과 발목에도 힘/토크 센서를 설치하겠습니다. 힘을 측정할 수 있다면 그 힘의 정보를 이용해 상황을 판단할 수 있겠죠. 또 유명한 뉴턴의 운동법칙인 F=ma(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과 같다)를 적용하면 로봇을 더 자연스럽게 조종할 수 있습니다. 로봇이 짐을 들고 나를 수도 있고, 사람들과 ... ...
- 아픈 돼지 고르는 안면 인식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실험한 결과 98% 정확도로 얼굴을 식별할 수 있었습니다. 중국 기업들은 이 기술을 이용하면 아프리카돼지열병 같은 전염병 확산을 최소화시킬 뿐 아니라, 지금보다 효과적으로 건강을 관리하고 번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
- [수학체험실]원과 직선, 다각형으로 만든 무늬! 별다각형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들에게 원은 다양한 다각형을 만드는 기본 재료와 같은 도형이었고, 별은 원을 이용해서 가장 많이 만든 무늬였다. 원을 균등하게 분할해서 꼭짓점이 6개, 8개, 10개, 12개, 16개인 다채로운 ‘별다각형’을 만들었다. 별모양의 별다각형은 삼각형과 사각형 등 일반적인 다각형과 다른 오목다각형의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