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으로 녹내장 해결의 실마리 찾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혈관 변형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이 모형은 선, 점 등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
해 혈관을 비롯한 기타 생리학적 구조를 나타냅니다.카리키노 교수는 “수학적 도구가 의학적인 데이터와 시너지를 내면 눈 속 혈류의 흐름 양상 같은 현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또는 얼음 행성인 것으로 추정된다.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얻은 분광 데이터를
이용
해 K2-18b의 대기 조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K2-18b의 대기에 수증기가 존재하며, 행성 표면에 많은 양의 수소가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연구를 주도한 앙겔로스 트시아라스 UCL 물리학및천문학부 연구원은 ... ...
[과학뉴스] 딥 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학습시켰다.그리고 1984년부터 2017년까지 기록된 기상 데이터를
이용
해 기계학습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시험했다.기계학습 알고리즘이 적용된 기후예측모델은 데이터를 입력한 시점으로부터 최대 1년 반 뒤의 엘니뇨 상황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해냈다. 최대 1년 후를 내다 보는 ... ...
지능×뉴런 지능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정신건강의학과 겸 뇌인지과학과 교수다. 유전적, 심리학적, 신경영상학적 기법을
이용
해 인간의 정신 능력이나 강박, 조현병과 같은 신경정신병 등에 대한 인지과학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뇌파 측정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해 특허를 출원했다.kwonjs@snu.ac.kr ▲ PDF 파일에서 고화질로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뒤 이화여대 스크랜튼대 융합학부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뇌영상 기법을
이용
해 유전자와 환경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 교재인 ‘더 바이폴라 브레인(The Bipolar Brain)’ 집필에도 참여했다.kjieun@ewha.ac.kr *용어정리단일염기다형성(SNP)유전체에서 평균 30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동충하초의 일종인 백강균이 닭진드기에 기생하면 닭진드기를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
했다. 다공성 물질인 화산송이에 백강균을 착생시켜 어두운 틈을 좋아하는 닭진드기가 화산송이의 구멍 속을 돌아다니다 백강균에 감염되도록 설계했다.올해 시상식에서 대상에게는 4000만 원의 장학금이, ... ...
[미국유학일기] 미국에서도 가장 사악한 물가 음료비를 줄이자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비해 식비 지출이 많은지도 따져봤다. 기숙사 식당은
이용
료가 만만치 않은데다가
이용
횟수가 적거나 밖에서 식사를 자주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손해다. 이렇게 정리해보니 지출 면에서는 지금의 아파트형 기숙사로 이사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평균적으로 내가 스탠퍼드대에서 일주일을 ... ...
루머의 루머를 밝히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사람에게 소문을 듣는 게 루머가 더 빨리 퍼졌습니다.루머가 퍼지는 현상을 수학 모형을
이용
해 밝힌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나요? 루머를 밝혀내기 위해서는 여전히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근거 없는 거짓 정보를 퍼뜨리는 일이 없도록 만드는 게 우선일 겁니다. 참고자료 ‘Prominent ... ...
[식물 속 동물찾기] 문지르면 고린내 주의! 족제비싸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식물이 비옥한 토양에서 질소를 흡수하는 것과 달리, 족제비싸리는 공기 중의 질소를
이용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는 공기 중의 질소를 흡수해 암모니아로 배출하는 뿌리혹 박테리아와 공생하는 덕분이랍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왜 나만 고양이 없어? 고양이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기체는 액체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에 봉지가 팽창한 거랍니다. 이처럼 아세톤을
이용
하면 직접 숨을 불어넣을 때보다 고양이를 더욱 빵빵한 얼굴 로 만들 수 있어요. 공기를 불어 넣으면 봉지를 묶을 때 기체가 쉽게 빠져나가지만, 액체 상태의 아세톤은 봉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기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