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리나라 안에서도 시대에 따라 미인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2003년 이화여대 미술사
학과
홍선표 교수는 선녀와 궁녀를 묘사한 고분벽화와 불화, 신윤복 등이 그린 미인도를 분석해 시대별로 미인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연구했다. 그는 “삼국시대에는 풍만한 여인이, 고려시대에는 우아한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기초과학에 대한 관심을 본격적으로 반영하고, 강조했다.21세기 들어서 세계는 생명과
학과
나노과학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우리도 이제는 원천지식 확보 경쟁에 뛰어 들기 시작했다. 창조적 논문, 특허가 일반 국민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심지어 노벨상을 노골적으로 염원하기 시작했다.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 낸 공식보고서의 결론을 부정하는 실험 결과가 공개됐기 때문이다. 안동대 지구환경과
학과
정기영 교수는 어뢰 추진체에서 발견된 물질의 성분을 분석한 뒤 100℃ 이하의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결정성 알루미늄황산염수화물’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이 물질이 고온고압의 폭발로 만들어진 ... ...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플라스마를 이용한 반공정 설비에 관한 일을 할 수 있다. 취재 한마디 서울대 원자핵공
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핵융합 플라스마는 영구적인 미래의 에너지원을 찾는 매력적인 학문이다.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인천을 출발한 비행기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닿았다. 여기서 비행기를 갈아타고 칠레 산티아고에 내렸다. 다시 비행기를 타고 칠레 ... 각종 공모전의 심사 의원위촉을 30여회 이상 역임했다. 현재 배재대 비주얼아트디자인
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집으로 돌아오는 차안에서 모혜정 교수가 집필한 저서 ‘과
학과
문화의 만남’을 읽으면서 다음과 같은 대목에 시선이 멈췄다. ‘문화란 단순한 호기심이나 물질적 풍요보다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정신적 만족을 줘야 한다. … 과학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려면 ... ...
우주의 비밀을 풀어 줄 반물질 실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왜 반물질만 사라지고 물질만 남아 있는지 밝혀낼 계획이다.덴마크 아르후스대 물리천문
학과
안드레센 교수팀은 우주 탄생 초기에 양성자와 함께 나타났다 사라진 반입자인 반양성자와,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를 자기장 안에서 충돌시키는 방식으로 반물질 수소 원자 38개를 만들고 지속시간을 ... ...
제10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발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여성과학기술자로 세종대 천문우주
학과
김성은 교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하 표준연) 신용현 책임연구원, 경희대 생명과학대 김지영 교수가 선정됐다. 시상식은 12월 중순쯤 개최될 예정이다. 동아사이언스와 한국연구재단이 공동으로 주관하는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 ...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춘기가 늦어지는 대신 오래 사는 쪽’을 선택했을까. 미국 하버드대 인류진화생물
학과
타냐 스미스 교수팀은 네안데르탈인의 화석 28개에서 찾은 영구치 90개와 현생인류 300여 명의 영구치 464개를 마이크로 X선 장비를 이용해 3차원 분석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이 현생인류보다 빨리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2004년 2차원 탄소박막 구조인 ‘그래핀’을 완벽하게 분리해 낸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
학과
의 안드레 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박사에게 돌아갔다. 그런데 두 교수와 함께 그래핀 연구에 중요한 공로를 한 한국 출신의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수상자 명단에 없었다. 김 교수는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