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2까지 준비해야 한다. “수
학과
화학, 두 과목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할 필요가 있어. 수
학과
화학, 생물을 중심으로 열심히 공부해서 모의고사에서 1등급이 나온다면, 수시 지원하면서 서류 전형에 참고자료로 제시할 수 있어.” 모의고사 수능 성적을 최대한 끌어올려서 성적을 입증할만한 자료를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맡은 김도한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와 이광연 한서대 수
학과
교수, 채영도 성균관대 수
학과
교수에게 노벨 수학상이 있었다면 어떤 수학자가 수상했고, 무엇이 달라졌을지 물어 봤다. 과연 누가 노벨 수학상을 탔을까? 세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니 앙리 푸앵카레가 첫 번째로 꼽혔다.두 번째는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외계생명체는 산소가 아닌 다른 원소로 호흡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성근 충북대 미생물
학과
교수는 질산염을 후보로 들었다. 이 교수는 “물속에 녹아 있는 질산염을 이용한 호흡은 산성도가 크게 변하는 반응이라 사람 크기의 동물이 질산염 호흡을 하면 항상성을 유지하게 위해 에너지가 많이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태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심리
학과
의 시몬 리트벨드 박사와 라이덴대 심리
학과
의 일리야 반 비스트 박사팀의 연구도 주목받았다(의학 분야).그들은 롤러코스터를 탔을 때 환자의 감정이 변하는 것과 호흡곤란 증세 사이에 어떤 연관이 있는지 주목했다. 젊은 여성 천식 환자 25명과 보통 젊은 ... ...
플라즈모닉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의 전기공학부나 물리
학과
에서 활발히 연구 중이다. ▲ 플라즈모닉스 졸업생들은 LCD나 반도체를 비롯해 광학을 기반기술로 하는 다양한 산업에 진출할 수 있다.4. 무엇을 배우나요?플라즈몬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자장 이론을 익히고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2004년 2차원 탄소박막 구조인 ‘그래핀’을 완벽하게 분리해 낸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
학과
의 안드레 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박사에게 돌아갔다. 그런데 두 교수와 함께 그래핀 연구에 중요한 공로를 한 한국 출신의 김필립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수상자 명단에 없었다. 김 교수는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맛있게 자란 것을 골라내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최홍부산대 김치연구소 및 식품영양
학과
교수는 저서인 ‘김치의 담금과 가공저장’을 통해 “배추 품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조직감과 색깔, 당 함량”이라며 “품종보다는 형태와 색깔 등을 중요시해 고를 것”을 추천하고 있다.이 기준에 ... ...
‘무명 선수도 1등’ 첨단 스포츠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밴드가 여러 개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이처럼 전문 스포츠웨어는 앞으로도 소재 과
학과
인체 생리, 스포츠 역학의 연구와 함께 첨단과학의 힘을 빌려 다양한 기능과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스포츠정신에 비출 때 어느 수준까지 발전을 허용해야 할지는 여전히 즐거운 숙제로 ... ...
승객의 경로를 분석하는 '복잡계' 와 '그물얼개' 이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승객의 경로를 그래프로 그리면 매우 복잡한 그물과 같은 그래프가 됩니다.성신여대 지리
학과
이금숙 교수는 “외국에서는 승하차 기록을 담은 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별 이동경로 자료가 없다” 며 “교통카드를 이용해 승객의 이동경로를 연구한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일” ... ...
빛의 냄새 맡는 쥐가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그러나 향기는 매우 다양하고 미세한 분자라 통제가 어렵다. 미국 하버드대 분자및생물
학과
벤카테쉬 머피 교수는 “향기는 화학적으로 너무 복잡한 물질이라서 향기를 이용해서는 냄새를 맡는 신경 회로를 따로 분리해 연구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설명했다.머피 교수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