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607건 검색되었습니다.
네이처 ‘올해의 10대 과학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알아내기 위한 ‘T2T’ 컨소시엄의 책임자 카렌 미가 미국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생물
학과 교수가 꼽혔다. 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자가 꼽은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 차기 센터장 로셸 발렌스키와 금성에 거주하는 생명체 여부를 연구하고 있는 제인 그리브스 영국 카디프대 교수도 ... ...
모더나, 화이자 백신에 우위 주장…"무증상 감염도 예방"
연합뉴스
l
2020.12.16
확보되지 않아 이런 내용을 포함시키지 못했다고 밝혔다. FDA 자문기구인 백신·
생물
의약품자문위원회(VRBPAC)는 17일 회의를 열고 모더나 백신에 대해 긴급사용을 권고할지 결정할 예정이다. ... ...
2020년 관측 역사상 '가장 더운 해' 2위 자리 굳힐까
2020.12.15
해양열파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해양에 서식하거나 이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상당수의
생물
이 직간접인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해수면 역시 꾸준히 상승해왔으며 올해 상승량은 세계평균 3.29mm로 최고치를 찍었다. 한편 한국의 11월 평균 기온은 8.8도로 세계 평균보다 5도가량 낮다. 기상청에 ... ...
루푸스 발병 원인 유전자 46개 규명…"정밀의료 기여가능"
연합뉴스
l
2020.12.14
왼쪽부터 배상철 한양대학교류마티스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와 김광우 경희대
생물
학과 교수. 2020.12.14. [한양대학교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andi@yna.co.kr (끝) ...
약 5만년전 경남 합천에 200m 운석이 떨어졌다…한반도 첫 충돌구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백악기 후반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운석 충돌은 공룡의 대멸종과 포유류가 등장하게 된
생물
학적 대사건으로 알려져 있다. 적중-초계분지는 독특한 그릇 모양의 지형으로 그동안 운석 충돌 흔적이 여러 차례 발견됐지만 직접적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 연구팀은 분지 내에서 깊이 142m 시추코어 ... ...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 달 토양 싣고 귀환길 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암석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이다. 창어5호가 가져올 샘플은 지구에서 다세포
생물
이 진화하기 시작한 12억년전부터 있던 비교적 젊은 달 토양이다. 미국이 앞서 가져왔던 샘플은 31억~44억년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오래된 토양과 암석으로 분류된다. 과학자들은 달 역사에서 가장 최근에 있었던 ... ...
미 CDC도 화이자 백신 사용권고 수용…접종 행정절차 마무리
연합뉴스
l
2020.12.14
식품의약국(FDA)과 CDC의 관련 심사 절차를 거쳐야 한다. FDA는 자문기구인 백신·
생물
의약품자문위원회(VRBPAC)가 지난 10일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개발한 백신 긴급사용 승인을 권고하자 이튿날인 11일 이를 수용했다. 이어 CDC의 ACIP는 12일 11 대 0의 찬성으로 16세 이상 미국인이 접종할 것을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
2020.12.13
연구 행동생태학자는 종종 더러운 연구를 한다. 연구비를 빼돌렸다는 뜻이 아니다.
생물
학자 제프 파커는 똥파리에 관해 현지 조사를 벌였다. 스카토의 라틴어 뜻이 ‘똥’이다. 분명 제프 파커는 연구 대상을 두고 다른 연구자와 별로 경쟁하지 않았을 것이다. 똥파리는 큰 똥 위에서 신방을 ... ...
크리스마스 트리는 알고보면 '한국산'··· 멸종위기의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12.12
한편 국립생태원에서는 2015년부터 구상나무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
자원센터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구상나무 주변 기후가 고온, 건조, 고농도 이산화탄소(CO2) 상태로 변할 때 구상나무의 유전자 발현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내는 것이 목표다. ... ...
해조류 먹어 치우는 게를 풀자 산호가 살아났다
2020.12.11
80%가 줄어들었다. 해조류의 면적이 줄어들자 기존보다 산호나 산호초와 공생하는 해양
생물
의 수와 밀도가 약 3~5배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6년부터 1년간 첫 실험장소서 15km 떨어진 곳에서 같은 실험을 진행해 게와 사람의 조합이 해조류를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