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609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알고보면 '한국산'··· 멸종위기의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12.12
한편 국립생태원에서는 2015년부터 구상나무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
자원센터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한 예로 구상나무 주변 기후가 고온, 건조, 고농도 이산화탄소(CO2) 상태로 변할 때 구상나무의 유전자 발현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알아내는 것이 목표다. ... ...
해조류 먹어 치우는 게를 풀자 산호가 살아났다
2020.12.11
80%가 줄어들었다. 해조류의 면적이 줄어들자 기존보다 산호나 산호초와 공생하는 해양
생물
의 수와 밀도가 약 3~5배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6년부터 1년간 첫 실험장소서 15km 떨어진 곳에서 같은 실험을 진행해 게와 사람의 조합이 해조류를 대부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 ...
미, 화이자 백신 실제 접종까지 남은 절차는…정상화는 언제
연합뉴스
l
2020.12.11
미국에서도 백신 접종이 가시권에 들어왔다. 다만 아직은 FDA 자문기구인 백신·
생물
의약품자문위원회(VRBPAC)가 승인하라고 권고한 단계다. FDA는 통상 자문위의 권고를 따라왔기 때문에 FDA의 최종 승인은 시간 문제로 미국 언론들은 보고 있다. 이르면 이날 중 FDA가 승인을 최종적으로 ... ...
인류가 만든 물질의 질량, 전세계
생물
총질량 뛰어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소각과 재활용을 거친 경우를 제외한 양을 포함하면 인공물 총질량은 2013년 이미 전 세계
생물
량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추세가 계속되면 20년 뒤인 2040년에는 인공물 총질량이 지금의 약 3배인 3조t을 넘길 것으로 추산했다. 밀로 교수는 “지구가 인류세로 변화하고 있다는 ... ...
[랩큐멘터리] 개인 맞춤형 의학의 시대를 실현하는 첨단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김상욱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생물
정보학연구실의 전경이다. 포스텍
생물
정보학실험실 보러가기 https://youtu.be/_ie5B0KFeDM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기술 ... ...
한국과학상에 기하학 이론가 김범식·메타물질 연구자 박규환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서울대 수리과학부 부교수와 함유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조교수, 박정원 서울대 화학
생물
공학부 조교수,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조교수에게 돌아갔다. 서인석 교수는 물리, 화학이나 인공지능에서 나타나는 ‘메타안정성’ 분석 방법론을 개발했다. 함유근 교수는 기상 이변을 유발하는 ... ...
미국도 코로나 백신 승인 임박…10일 FDA 자문위 심의
연합뉴스
l
2020.12.10
9일(현지시간) CNN과 C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기구인 백신·
생물
의약품자문위원회(VRBPAC)는 10일 회의를 열고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신청한 코로나19 백신의 긴급사용 승인 안건을 심의한다. 자문위는 화이자 백신을 승인하도록 권고할지 표결을 한다. FDA는 이 표결에 따른 ... ...
독도 바다에 희귀 열대 어종이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서식해
생물
학적으로도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독도의 해양환경과 생태변화,
생물
상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독도의 자연자원 보존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
스웨덴 린네메달 금메달에 윤대원 일송학원 이사장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밝혔다. 린네 메달은
생물
학자 칼 폰 린네 탄생 300주년을 기리는 의미로 제정된 상이다.
생물
학 분야 관련 과학적 업적을 가졌거나 웁살라대의 유산을 공적으로 발전시킨 이에 수여되는 상이다. 금메달과 은메달이 있다. 2007년 5월 첫 시상 이후 매년 1명에 대한 시상을 이어왔다. 런던 린네학회가 ... ...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외에 바로 오늘 밤부터 열흘간 남해안 현장 연구가 있기 때문”이라며 “뛰어난 고
생물
학자는 화석을 많이 본 학자라는 신념에 따라 오늘도 현장으로 가겠다”고 자리를 떴다. 마틴 로클리 미국 콜로라도대 명예교수가 2018년 경남 진주에 위치한 진주익룡발자국전시관에서 연구하고 있다. 임종덕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