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또 필사적으로 적응하게 마련이다. 자연선택이 일어난다. 진화가 가속된다. 또 하나의
새로운
종이, 더욱 다양한 종이, 지극히 경이로운 무한한 형태가 불길 속에서 피어난다. 곤충학자들은 이 세계에 수백만 종의 곤충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정신을 차려 보니 정 박사의 목소리가 아득하게 들렸다.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를 향해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알 것 같아요. 우리는 우주선 안에서 태어나고 살다가 죽는 거잖아요. 미래에
새로운
행성에 자리잡고 살 우리 후손을 위해서 다리 역할을 할 뿐이에요. 이렇게 생각하면 너무 허망해요. 우리 삶의 의미는 뭔지….” “글쎄다. 그래도 우리 덕분에 사람이 점점 우주로 퍼져나갈 수 있는 게 아닐까?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번개처럼 움직이며 생물을 찾아라!‘바이오블리츠’는 지정된 장소에 모인 사람들이 총 24시간 동안 그 지역의 생물을 모두 조사하는 활동이에요. 1996 ... 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참가 가능하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내 손으로
새로운
종이나 미기록종 찾기에 도전해 보세요~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미네랄 성분이 어떻게 생성되고 기능하는지 알 수 있었다”며 “치아의 구조를 모방해
새로운
재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 11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21/acsnano.7b0504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나노기술의 미래를 이끌 젊은 과학도들의 축제 ‘나노영챌린지’가 6개월간의 대장정 끝에 막을 내렸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올해 처음 개최한 나노영챌린지의 본 ... 줬다”고 말했다.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내년에도 ‘제2회 나노영챌린지’를 개최하고
새로운
도전자를 모집한다 ... ...
[Issue] “저는 책 나르는 로봇 ‘어라운드’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자율주행 물류로봇을 개발 중인 이상덕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 기술은 물류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기술”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아마존이 거대한 물류창고에 로봇을 투입하고 있지만, 이런 로봇들은 바닥에 붙은 QR코드나 땅속에 묻어 놓은 자석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돼 있어 진정한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학습을 통해 엄마인지 아빠인지 구별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성인이 된 뒤에도
새로운
사람을 계속 만나면서 뇌의 얼굴 인식 능력은 계속 발달한다. 결국 얼굴 인식 기능은 뇌의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학습을 거쳐 여러 신경세포들이 함께 작용해 일어나는 기억 활동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 ...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따라 호감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는있다. 톰 하틀리 영국 요크대 심리학과 교수는
새로운
사람을 만났을 때 첫인상은 얼굴의 특정 부위와 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4년 7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doi:10.1073/pnas.1409860111/-/DCSupplemental).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1000명의 얼굴에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여기고 있는데, 알파고 제로의 핵심은 이처럼 그 둘이 배제된 알고리즘에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열었다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 핵심은 알고리즘알파고 제로에 적용된 인공지능 기술은 바둑 게임에서만 유효하다. 알파고 제로는 바둑 게임에서 승률평가 경험 함수를 최적화 한 것일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다른 대학이나 연구소와 연구 주제가 겹치면 연구단을 만들 수 없다”며 “그만큼
새로운
연구를 지향하는 연구소”라고 말했다. 정성적 평가, 공동 저자 부담 줄이고 협업 늘려막스플랑크협회는 각 연구소의 예산을 결정하기 위해 R&D평가 기준으로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등재된 논문 수,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