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한 내각의 크기가 108°인 정오각형으로는 평면을 채울 수 없습니다. 108°는 360°의 약수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대신 모서리를 당기고 눌러서 만든 ... 2015년까지 총 1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었거든요. 이제 더 이상 볼록 오각형 테셀레이션의 새로운 방법을 찾겠다고 매달릴 필요가 없겠죠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큰 전략을 찾습니다. 진화 게임이론에서 한 집단이 다같이 어떤 전략을 쓰고 있을 때, 새로운 전략으로 기존 전략을 바꾸지 못한다면 원래 전략을 진화적으로 안정하다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앞서 말한 원숭이 무리에서 사기는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이 아니며, 협력은 진화적으로 안정한 전략이 ...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매일 이용하던 지하철의 운행이 중단됐을 때 허겁지겁 다른 노선을 찾아본 경험이 있나요? 지하철은 여러 노선이 얽혀있어서 출발역과 도착역을 잇는 노선 ... 게임이 때때로 엄청난 발견으로 이어집니다. 여러분도 게임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다 보면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게 될지도 몰라요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 ... 관련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기대해 주세요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에드워드 보이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신경세포와 반도체 칩을 연결해 새로운 지능을 만들어 내는 것이 다음 세기 뇌 연구의 주요 목표가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사이보그라는 캐릭터에 투영된 인간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드는 일은 이 글을 읽는 바로 여러분들에 달렸다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1916년 아인슈타인은 잔잔한 중력장 위에 돌을 던지면 어떤 일이 발생할지 생각했다. 거대한 별이 갑작스럽게 폭발하는 등 중력에 변화 ... 시작일뿐이다. 앞으로 중력파를 이용해 그 동안 광학 관측만으로는 볼 수 없었던 우주의 새로운 비밀을 파헤치고 이해하게 될 것이다. 정말 기대된다 ... ...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그대로 또는 비슷한 구조로 합성한다. 이렇게 합성한 분자에서 원소를 빼거나 더해 새로운 향을 만들기도 한다. 가령 탄소가 14개인 무스콘 분자에서 탄소 하나를 빼면 ‘시더우드(소나무과에 속한 허브)’ 향이 만들어진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머스크의 무스콘 분자, 영묘향을 내는 시베톤과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큰 문제가 없다면 국제도량형총회에서 단위 재정의를 승인하고, 2019년 5월 20일부터는 새로운 질량 단위를 사용하게 된다. 전류, 온도, 물질량 등 3개 단위 더 바뀌어 내년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는 국제단위계 7개 중 ‘암페어’ ‘몰’ ‘켈빈’의 정의도 함께 바뀐다. 볼츠만 상수로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말한다. 이 기술이 그려낼 세상을 향한 모험은 이미 시작됐으므로, 겸허한 자세로 새로운 가치관과 윤리관을 싹 틔우고 공유해야 한다는 얘기다. 2016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은 올해의 단어로 ‘탈 진실(post-truth)’을 선정했다. 탈 진실이란 ‘객관적 진실보다는 개인의 믿음이나 감정이 여론을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저항력이 생깁니다. 이 두 힘은 벡터★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벡터를 합하면 새로운 힘이 생깁니다. 중력의 정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이것을 공기역학적 힘이라고 합니다. 이 힘은 중력과 크기가 같지요. 벡터★화살표로 힘이 작용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의 길이로 힘의 크기를 ... ...
이전2462472482492502512522532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