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둥이
구강
아가리
입아귀
구멍
의치
가치
d라이브러리
"
입
"(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있으며 수많은 살인사건 추리소설에 등장한 바 있다. 그러나 토끼는 아무런 피해도
입
지 않고 이 독버섯을 먹을 수 있다.The Incredible Inedible ButterflyAll of nature is a matter of eating and being eaten, and, in 1990, two biologists of the Unive ...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여러 연구분야중 패턴인식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퍼지를 이용해 패턴인식을 할 때는
입
력되는 물체의 몇가지 특징을 파악, 이 특징에 따라 구분해 나간다. 여기서 퍼지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이유는 그 특징 자체에 애매한 내용이 많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또한 특징이 단순한 것이 아니라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유인원 계통보다 작은 이를 가진 것이 특징. 특히 송곳니가 작고, 턱뼈의 구조나
입
천장의 형태, 이의 배열이 유인원의 U자형이 아니고 포물선형을 나타내는 점 등으로 사람의 직계조상으로 본다(그림3 참조).라마(Rama)는 인도 힌두교의 신(神)이라는 뜻이다. 사람의 계통수를 그릴 때 대부분의 ... ...
「통신개방」시험대에 오른 국내 DB산업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대한 정부기관의 독점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정보화사회 진
입
에 발맞추어 정부가
입
법을 추진했던 '정보공개법'도 거론된지 2년이 다되도록 아직 진전이 없는 형편이다.DB산업에 대한 국내 대기업들의 태도도 따가운 눈총을 받을만하다. DB개방이 발표된후 종합상사들은 해외DB의 대리점권을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균형을 맞추는 것이다.2 ① 해삼은 극피동물에 속하는데, 얼굴을 옆으로 누이고 다닌다.
입
은 관족으로 둘러싸여 있고 다른 끝에는 항문이라 불리는 구멍이 나 있다. 그들은 이곳을 통해 배설한다. 해삼의 항문은 물을 빨아들인 뒤 몸체 바로 안에 있는 관을 통해 바깥으로 내놓는 호흡작용도 한다. 또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새끼 돌고래는 30초 정도밖에 물속에 잠겨 있지 못한다. 새끼가 장난치면 어미는 새끼를
입
에 물고 물속 깊이 들어가 새끼의 호흡이 거칠어질 때까지 머물러 새끼의 버릇을 고쳐준다고 한다.종류에 따라서는 어미가 되는데 6년이 걸리는 것도 있고 보통 수명은 15~30년이다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 아닌 '신중한 참여'의
입
장을 선택해야 한다. SSC참여를 무임승차라 생각하고 가속기
입
구에 태극기 하나 걸어주는 것으로 만족해서는 안되며 돈과 인력을 댄만큼 철저히 배워와야 한다"는 것이 국내 물리학자들의 대다수 의견이다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의학·생리학)올해의 노벨물리상은 선형가속기 실험을 통해 쿼크(quark)의 존재를
입
증한 미국인 과학자 제롬 프리드먼(60)과 헨리 켄들(63) 그리고 캐나다의 리처드 테일러(60) 세 사람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가 밝힌 이들의 수상이유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에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땅바닥에 턱 내놓고 갑자기
입
을 떡 벌리면 순간적으로
입
안에 생긴 압력에 의해 사료가
입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하는 기술을 갖고 있는 것이다.아프리카에 가면 이 기묘한 동물의 어미와 새끼가 노니는 모습을 얼마든지 볼 수 있다. 그러나 동물원에서는 얼마전까지만 해도 그 새끼를 낳는 일이 ... ...
유럽과 북미에 2세대 오존층 구멍?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까에 대해서는 예측을 삼가고 있다. 또 장기적인 경향에 대해서도
입
을 다문다. 수없이 변수가 많기 때문에 슈퍼컴퓨터를 활용해도 딱 떨어지는 전망을 얻지 못하는 것이다.파맨의 주장을 수용한다면 적어도 아시아에서는 아직 여유가 있어 보인다. 일본의 환경관련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