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acceptor) 등의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 공급되는 전자나 양공(陽孔)에 따라 전기전도를
조절
할 수 있는 반도체이다 원자(중성 또는 이온)의 주기적 배열에 격자결함이 있는 결정 실존하는 결정은 모두 불완전하나 특히 불완전성이 큰 것을 가리켜 불완전결정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곤충의 변태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마우스의 수정란(受精卵) 핵 속에 래트의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구조유전자와 그
조절
유전자를 주입하여 염색체에 조합해 넣는 실험이 이루어졌다 연산처리 속도가 매초 10억 회 이상의 과학 기술 계산 전용의 컴퓨터 연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독자적으로 실행 가능한 연산기를 여러 개 사용하여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불이 붙으면 연료 소모량을
조절
할 수 없는 반면, 액체로켓은 연료의 분사량을 마음대로
조절
하면서 속도를 바꿀 수 있어 인공위성 발사에 필수적이다.이전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고체로켓에 대해 연구하고 있었는데, 채 박사는 이를 바탕으로 액체로켓을 만들 수 있다고 판단했다. 물론 어려움도 ... ...
2. 헬기나 제트기로 자유자재의 변신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균형있는 자세를 잡으며 앞으로 전진한다. 물론 전진익과 후퇴익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
하면 원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이때 후퇴익의 날개 각도는 아무리 높인다 해도 대략 12°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각도가 이보다 커지면 날개 표면에 붙어있던 공기흐름이 날개 표면에서 떨어져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순서대로 정확하게 배열하는 보완작업을 거쳐 김치게놈지도가 완성되면 발효과정을
조절
해 언제나 최상의 맛과 향을 자랑하는‘맞춤 김치’를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쿠킹 Tip!김치는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화학반응 덕분에 비타민과 유기산 등 유익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정교하게 작동된다. 마이크로칩으로 각 밸브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시간을
조절
하는 것이다. 롬버그는 디지털과 아날로그 형태로 시간을 보여주는 기포 발생장치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는 현재 기포로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할 포부를 갖고 있다. 과연 그의 아이디어는 성공할 수 있을까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된다4~5세부터 퇴색하기 시작하며 점차 없어진다 색소포에 직접 분포하여 그 활동을
조절
하는 원심신경 색소포 내의 색소과립을 확산 또는 응집시키거나 또는 색소포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으로 붙는 색소포근(色素胞筋)을 수축 또는 이완시켜 동물의 체색을 변화시킨다물체의 표면색(表面色)에서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부드럽고 조화있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이런 기저핵의 기능을
조절
하기 위해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이 바로 도파민이다. 따라서 도파민 부족은 운동기능의 장애를 초래하며,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인 손떨림, 경직, 느린 행동, 불안정한 자세의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 ...
눈물 안나는 유전자 조작 양파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양파의 맛과 특별한 연관성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루성분 합성효소의 활성을
조절
해 양파 특유의 맛과 영양을 유지하면서도 매운 자극을 없앤 ‘눈물이 안나는 유전자조작 양파’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눈물이 안나는 양파를 ... ...
3. 유전자
조절
비밀 간직한 메틸레이션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메틸화·아세틸화, 염색질 리모델링 등 후성학적 메커니즘의 정확한 이해는 이를
조절
하는 저분자 화합물을 통해 효과적인 항암제 개발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지금까지 거의 대부분의 DNA 메틸화 연구는 암세포에서 기능이 소실된 유전자를 발굴하는 일이었다. 최근에는 대규모의 검색시스템을 ... ...
이전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