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나노 구조물의 폭은 세균이 액체 배지 위에서만 자랄 수 있으므로 홈의 두께를 배지로
조절
함으로써 바꿀 수 있다. 한편 콘도 박사는 “만약 셀룰로오스 대신 다른 물질로 길을 만들 수 있다면 상처를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것”이라고 기대했다. 즉 유전자조작으로 세균이 피부를 구성하는 ... ...
이모티콘 탄생 20주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나타내는 일련의 2진숫자의 기억장치 1963년 F 자코브에 의해 제창된 염색체 복제의
조절
기구에 대한 작업가설 자율적 복제 단위를 레플리콘이라 한다 예컨대 대장균의 염색체 DNA에는 그것 자체가 하나의 레플리콘이며, 에피솜(episome) · 플라스미드 등도 각기 레플리콘이다 각 레플리콘에는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된 바이메탈은 650℃ 정도까지 쓸 수 있다다이얼온도계로서도 쓰이고, 또 온도의 자동
조절
장치의 발신부나 자동기록온도계로서도 쓰인다점탄성 액체의 법선 변형력 효과의 하나로서 정상 변형유동에서 탄성변형부분이 커지면 유선(流線)방향에 변형력 이외의 장력이 생기고 이것과 수직방향에 ... ...
연구형 국제 경시대회 참가자와의 만남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구석으로 몰아세웠다. 대개 반론을 잘하는 팀은 상대팀에게 끌려가지 않고 시간
조절
도 잘하며 기술적으로 토론을 운영해간다.이에 반해 우리팀은 처음 경합할 때 토론에 무척 서툴렀다. 반론팀이었던 우리는 발표팀을 처음부터 무차별 공격했다. 우리의 토론자세에 심사위원들의 얼굴이 굳어지면서 ... ...
목소리는 제2의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달라진다는 점이다. 사람은 자신의 귀로 발음된 목소리를 동시에 들으면서 상황에 맞게
조절
한다. 우리는 시장이나 파티 장에 가서는 매우 큰 목소리로 또박또박하게 발음해 의사를 전달하려고 한다. 하지만 이런 목소리로 조용한 도서관에서 말하면 주위에서 공부하던 학생들이 모두 쳐다볼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위해서는 단순한 실험 모델이 필요한 까닭이다. 예를 들어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
조절
을 연구하는 분야인 분자생물학은 초기에 대장균과 박테리오파지와 같은 극히 단순한 미생물만 사용했다. 세포분열과 주기에 관해 연구하는 분야인 세포생물학은 효모와 같은 곰팡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이와 ... ...
주가변동 해석하는 마이너리티 게임의 법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그 결과를 예측할 수 없지만 많은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거시적 현상이 자체적으로
조절
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주가 변동 설명 가능챙 교수와 대학원생 샬레는 마이러니티 게임에 대한 컴퓨터 실험을 통해 거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살펴봤다. A와 B를 선택하는 마이너리티 게임에서 A를 ... ...
호박이 부기 빼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인체 내부의 콩팥에는 우리 몸의 수분량을 체크하는 센서가 있는데, 이를 통해 소변량이
조절
된다. 즉 콩팥 센서에서 수분이 적다고 감지되면 항이뇨호르몬(소변량을 줄이는 호르몬)의 분비가 늘어나 소변량이 줄어들고, 수분이 많은 것으로 감지되면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줄어 소변량이 ... ...
한국인이 생성과정 밝혀낸 마이크로RNA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21-25nt의 길이를 갖게 돼 그 기능을 수행한다.이번 연구 결과로 마이크로RNA는 생명현상을
조절
하는 주요 인자로 확실히 자리잡게 됐다.김교수는 “마이크로RNA는 생명현상에 대한 경외심을 다시 한번 갖게 한다. 마이크로RNA의 유전자는 그동안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믿어왔던 정크DNA에 ... ...
영화 속 범죄예측 시스템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화학물질을 만드는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OA의 수치가 낮을 경우 감정
조절
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반사회적 행위를 저지를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그들의 조사에 따르면, 전체 대상 4백42명 중 12%가 ‘낮은 MAOA 수치’를 만들어내는 유전 형질을 갖고 있었으며, 이들이 저지른 폭력행위는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