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커피·만년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두께를 준 육면체
형태
로 상황을 시뮬레이션했다. 사람을 가장 단순하게 나타낸
형태
인 셈이다. 보치 교수는 “두께가 생기면 어떤 속도로 가던 비를 전혀 안 맞을 수는 없다”며 “다만 두께가 얇으면 여전히 비를 가장 적게 맞는 이동 속도가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두께가 어느 선 이상 ... ...
우유니의 은빛 거울이 스마트폰이 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연구를 시작했다. 리튬의 회수율을 높이고 추출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염수를 분말
형태
로 변화시켜 리튬을 농축시키는 기술을 적용했고, 그 결과 기존공정보다 리튬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였다(86.9%). 또 추출 시간도 단축하고 순도를 높였으며(99.6%) 2건의 지적재산권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됩니다.물론 뼈가 튼튼하지 않다고 죽을 정도는 아니겠죠. 그러나 가임기 여성의 뼈에서
형태
가 일그러지면 곧바로 삶과 죽음의 문제로 연결되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아기가 나오는 골반뼈입니다. 산모와 아기를 위협하는 치명적인 증세 앞에서 인류는 다시 멜라닌이 없는 흰 피부를 가질 수밖에 ... ...
호흡을 이용한 전통과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요즘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가볍고 깨질 위험이 적은데다 다양한
형태
의 주조가 가능한 플라스틱은 생활 용기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옹기의 사용은 줄어들었다.플라스틱은 생물학적인 차원에서 보면 친환경적이지 않고 생명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 플라스틱의 ... ...
녹조라떼의 구세주 천연 조류제어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기존에 사용하던 황토보다 녹조 제거 효과도 다섯 배나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액체 물질
형태
라서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살포하기에도 수월하다. 환경부의 허가를 받으면 곧 모든 상수원에 뿌려진다. 하지만 우리가 마시고 사용하는 식수에 아무리 천연이라고는 하지만 조류 제어제를 뿌린다면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스핀이 2분의 1씩 차이가 나기 때문에 보존(스핀이 정수인 입자)은 페르미온(스핀이 분수
형태
인 입자)을, 페르미온은 보존을 짝으로 지닌다. 물리학자들은 이들이 표준모형 기본입자보다 질량이 월등히 높다고 예측하고 있는데, LHC에서 아직까지 단 한 개도 발견하지 못했다. 이강영 교수는 “쿼크의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물체의
형태
를 유추하는 관찰법이다. 프랭클린은 DNA가 만드는 회절무늬를 분석해 DNA의
형태
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유추’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프랭클린은 X선을 이용해 회절무늬를 본 것이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실제로 본 것은 아니다. 그러나 X선으로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직접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물질은 다양한
형태
로 커패시터(축전기)소자에 이용되는 재료다. 덩어리(벌크) 및 박막의
형태
로 제조된다. 필자는 학부 때부터 관심이 많던 유전 물질의 물성 공부를 위해 대학원에 입학하자마자 선배를 따라다니면서 제조공정 및 특성 평가 과정 하나하나를 배우고 익혔다.신입생 시절에는 ... ...
대입 전략, 고교 선택에서부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편성해야 한다. 이와 같이 2009개정교육과정에서는 일반고는 물론 자사고까지 다양한
형태
의 교육과정 운영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창의적 체험활동도 다양해지기 때문에 진로나 적성, 특기에 맞는 고등학교를 고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입 전형유형이란 무엇인가?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하이라코테리움의 특징을 아직 많이 갖고 있다. 하지만 맨 뒤 앞어금니가 어금니
형태
로 바뀐 것이 큰 차이점이며 이는 오로히푸스가 더 질긴 식물도 잘게 부술 수 있는 이빨을 지녔다는 뜻이다.에피히푸스는 약 4700만 년 전에 오로히푸스로부터 갈라져 나온 종류로 이빨이 더 발달해 앞어금니 두 ... ...
이전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