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시민과학을 직접 경험하고 있다. 채집한 말매미는 유전자 분석과 함께 종과 지역별로
형태
를 분석하는 데 쓰인다.채집한 매미는 수컷. 장재연씨는 곤충 전문가답게 매미의 생김새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하기 시작했다.“수컷은 배 쪽에 공명통이 있고 그 안에 진동막, 발음근, 공기주머니로 소리를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꼭 필요한 경우엔 낭심이나 목, 어깨까지 가려주는 경우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조끼
형태
를 크게 해치지 않는 선에서 타협을 본다.방탄 성능도 영화에서 보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세상에는 여러 종류의 총과 총알이 있으니 저마다 파괴력이 다르다. 흔히 군대에서 제식 소총으로 쓰는 구경 5.56mm,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가지고 있는 어른들의 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치즈나 요구르트 등 유제품의
형태
로 우유를 섭취하는 문화 때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우유를 통해 비타민 D를 섭취하기 위해서라는 가설도 있습니다. 비타민 D는 몸에서 칼슘을 흡수하는 데에 중요한 성분입니다. 햇빛 속의 자외선을 ... ...
엔지니어의 이유 있는 자부심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물질은 다양한
형태
로 커패시터(축전기)소자에 이용되는 재료다. 덩어리(벌크) 및 박막의
형태
로 제조된다. 필자는 학부 때부터 관심이 많던 유전 물질의 물성 공부를 위해 대학원에 입학하자마자 선배를 따라다니면서 제조공정 및 특성 평가 과정 하나하나를 배우고 익혔다.신입생 시절에는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때 관성밀폐방식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영화 속 핵융합로는 지름 1.5m 정도의 구
형태
로,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관성 밀폐방식 발전을 연구하는 데 쓰는 챔버와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다.관성 밀폐방식이란 단단한 챔버 안에 핵연료가 들어 있는 캡슐을 넣고 고에너지 레이저를 쏴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물체의
형태
를 유추하는 관찰법이다. 프랭클린은 DNA가 만드는 회절무늬를 분석해 DNA의
형태
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유추’했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프랭클린은 X선을 이용해 회절무늬를 본 것이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실제로 본 것은 아니다. 그러나 X선으로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직접 ... ...
맥가이버는 영재학교 갈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것이 미래 인재들에게 필요한 덕목이 돼가고 있다는 의미다. 창의성 문항 중에는 다양한
형태
의 실험 설계 등 탐구 과정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경우가 많다.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능력 역시 중요한 창의성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 ...
1. 그 많던 말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하이라코테리움의 특징을 아직 많이 갖고 있다. 하지만 맨 뒤 앞어금니가 어금니
형태
로 바뀐 것이 큰 차이점이며 이는 오로히푸스가 더 질긴 식물도 잘게 부술 수 있는 이빨을 지녔다는 뜻이다.에피히푸스는 약 4700만 년 전에 오로히푸스로부터 갈라져 나온 종류로 이빨이 더 발달해 앞어금니 두 ... ...
원하는 동영상 콕 찍어 찾는 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줄어든다.특히 인터넷에 특정 동영상이 올라와 화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종종 왜곡된
형태
로 사회적 이슈가 돼 당사자 및 관계자들에게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인터넷에 올라온 ○○남, ××녀 등이 그렇다. 이럴 때도 손쉽게 해당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서비스가 보편화된다면 이성적인 판단이 ... ...
슈퍼컴퓨터로 치매 조기진단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함께 관찰하기 시작했다. 현재 가능성 있는 후보들은 대뇌 주름의 모양 변화나 해마의
형태
변화 등이다. 흥미롭게도 이런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사람들은 피슬 박사처럼 수학이나 전산학을 전공한 연구자들이 많다. 국내에서 이 분야 연구를 주도하는 성준경 숭실대 컴퓨터학부 교수도 원래 ... ...
이전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