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2015.07.13
- . 이때 미루나무와 버드나무에서 분리한 질소고정 박테리아를 접종하면 생장이 개선된다(오른쪽). 최근 콩과식물 외의 식물에서도 질소고정이 일어난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 김형민 제공 또 질소고정을 위해 숙주식물과 정교한 공생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없는 미생물을 농작물에 ... ...
- 검은 흙이 5분 만에 하얀 흙으로2015.07.13
- 을 마이크로파로 처리하자 고열이 발생해 토양에 흡착된 기름이 날아가고 깨끗한 자갈(오른쪽)만 남았다.-철도연 제공 석유에 찌든 시커먼 흙이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길쭉한 기계로 빨려 들어갔다. 5분 뒤 쏟아져 나온 흙은 새하얗게 바뀌어 있었다. 10일 오전 경기 의왕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
- 스타트업 기업 위한 ‘황금의 손’ 과학기술인 멘토들의 활약2015.07.10
- 펫피트 측은 멘토의 조언에 따라 스마트폰 앱을 개발한 뒤 상품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오른쪽). - DOT, 펫피트 제공 올해 4월 설립된 벤처기업 닷(DOT)은 최근 시각장애인용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스마트 손목시계를 개발했다. 올해 말 미국 시장에 제품을 선보이고, 국내 한 은행에는 시각장애인이 ... ...
- 입자가속기 손상 시킬 ‘최후의 암초’ 드디어 찾았다2015.07.08
- 왼쪽)과 달리 공명현상이 발생할 경우(가운데와 오른쪽)에는 빛이 집속되지 않고 새나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국내 연구팀이 선형가속기의 성능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고가(高價)의 가속관을 손상시킬 수 있는 최후의 변수를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전동오 기초과학연구원 ... ...
-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 음성분석 해봤습니다 2015.07.03
- 차지하고 있는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왼쪽)의 정체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오른쪽은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로 가수 김연우. - MBC 제공 ‘화생방실 클레오파트라’의 정체는 가수 김연우일까. 얼굴에 가면을 쓰고 노래 실력을 겨루는 프로그램인 ‘일밤-복면가왕’이 인기다. 특히 ...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2015.06.29
- 존재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아데닌도 메틸화돼 메틸아데닌(6mA, 그림 오른쪽 위 분자)로 바뀔 수 있다. 6mA는 박테리아에서 게놈을 보호한다는 역할을 하는데, 최근 진핵생물에서도 후성유전학적 기능이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예를 들어 녹주류인 클라미도모나스의 ... ...
-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5.06.23
-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장 마르탱 샤르코(Jean-Martin Charcot) 교수(왼쪽)가 히스테리성 환자(오른쪽) Blanche Marie Wittman을 최면술을 이용해 치료하고 있다. 환자를 부축하고 있는 사람은 조셉 바빈스키. - wikipedia 제공 ● 최면을 믿지 마세요 “에휴, 내가 전생에 무슨 죄를 지었다고 이 고생을 하나.” ... ...
- 신약 후보물질 골라내는 데 현미경 하나면 끝!2015.06.22
- 움직이는 정도가 40% 정도까지 떨어졌다. 포스텍 연구진이 이번에 발견한 모델(오른쪽)과 기존 샤프만-델브룩 모델. 기존 모델에서는 외부 물질이 세포막에 붙어도 막 단백질의 움직임이 변하지 않는다고 알려졌지만, 이번에 연구진은 물질이 붙으면 막 단백질의 움직임이 느려진다고 발표했다 ... ...
- [메르스 업데이트] “한국, 사스와 에볼라 때 겪었던 과오 반복해”2015.06.21
- 고스틴(왼쪽 사진)과 다니엘 루시 교수(오른쪽 사진)가 한국의 메르스 대응에 대한 일침을 가했다. - 미국 조지타운대 제공 전국에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출국자들을 대상으로 발열 검사를 시행하지 않아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로렌스 고스틴 미국 조지타운대 ... ...
- 더위먹은 타이어, 공기압 부족땐 ‘펑’동아일보 l2015.06.19
- 을 열면 보이는 하얀색 통 세 개를 점검해야 한다. 왼쪽에는 워셔액 통과 냉각수 통이, 오른쪽 위에는 브레이크 오일 통이 있다. 장마철에는 워셔액 소모가 많아지므로 미리 양을 확인하고 보충하는 게 좋다. 비상시에는 생수를 쓸 수도 있다. 워셔액과 반대로 냉각수에는 이끼가 낄 수 있으므로 ... ...
이전2442452462472482492502512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