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뉴스
"
오른쪽
"(으)로 총 2,78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성형수술 2가지는?
2015.04.12
전(왼쪽)과 성형 후(
오른쪽
). 평가자들은 성형 후의 모습에서 더 큰 호감과 매력을 느낀다고 응답했다. - 조지타운대 제공 주름제거시술과 처진 눈꼬리를 다시 올려주는 성형이 타인에게 더 좋은 인상을 준다는 결과가 나왔다. 마이클 레일리 미국 조지타운대 의대 교수팀은 부위별 성형 수술 중 ... ...
약지 긴 남자, 매력 넘치는데 ‘체력’도 강하다
2015.04.09
있다”고 말했다. 당신의 손가락 비율은? 위키미디어 제공 손가락 길이는
오른쪽
사진처럼 아래쪽 마디가 시작되는 지점부터 측정하면 된다. 검지의 길이를 약지의 길이로 나눴을 때 나오는 값을 기준으로 삼는다. 2005년 베일리 허드 캐나다 앨버타대 심리학부 교수팀은 평균값이 남성의 ... ...
“통합수능 봐야만 창의적 인재 되나?”
2015.04.07
수능까지 바꿀 필요 없어”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오른쪽
사진)는 이날 발표에서 “정부가 시행하고자 하는 교육은 ‘통합’이라는 이름으로만 바뀌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수능통합에 관련해 정부 당국에서 아무것도 내 놓은 것이 없어 ‘깜깜한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피부를 굳게 만들어 자신을 보호하고(위 왼쪽) 위협이 사라지면 다시 말랑말랑해진다(위
오른쪽
). 여기서 힌트를 얻어 건조할 때는 네트워크(빨간 선)로 단단하고(아래 왼쪽) 수분을 머금으면 네트워크가 깨져 말랑말랑해지는(아래
오른쪽
) 재료가 개발돼 뇌조직에 심는 미세전극으로 활용하는 ... ...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지자기 센서는 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을 인식해서 남쪽이면 왼쪽 전극이, 북쪽이면
오른쪽
전극이 실시간으로 뇌의 시각피질에 전기 자극을 주는 방법으로 작동한다. - 이케아야 유지 교수 제공 ... ...
[포토뉴스] ‘아리랑’ 위성이 촬영한 소양강… “강줄기가 다 말랐네”
2015.04.01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최근 중부지역 가뭄 피해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강원 춘천 소양강댐 지역의 인공위성 사 ... 있고 물줄기도 흐릿하게 보인다. 앞서 2년여 전인 2012년 12월 아리랑2호로 촬영한 사진(
오른쪽
아래)에서는 짙푸른 강줄기가 뚜렷하게 보인다. ... ...
일부다처제 동물일수록 ‘마초 유전자’ 강하다
2015.03.30
여러 이성과 교미를 하는 공작(왼쪽)은 단 한명과 교미를 하는 오리(
오른쪽
)와 달리 암수간 유전자와 겉모습의 차이가 크다. - Wikimedia 제공 공작새의 화려한 깃털, 사자의 갈기는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존에 다소 불편한 형태이지만 번식에 유리할 경우 진화에 성공할 가능성이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따라 배치한 샐러드(왼쪽)가 한데 모아놓은 경우(가운데)나 개별 식재료로 나열한 경우(
오른쪽
)보다 더 맛이 좋다고 평가됐다. - Flavour 제공 실제로 풍미의 공감각적 지각에 대한 연구도 진행됐는데 결과를 보면 수긍이 간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단맛이 나는 음식을 고음과 피아노 소리에 ... ...
유방재건술 1일부터 건보 적용… 뇌종양-간질 뇌기능 검사도 혜택
동아일보
l
2015.03.30
동아일보] 복지부, 의료비 경감 확대 지난해 12월
오른쪽
유방암으로 유방 절제 수술을 받고 항암치료 중인 김모 씨(41)의 가장 중요한 인생 목표는 유방 재건술을 받는 것이다. 김 씨는 “암의 재발을 막기 위해 유방을 절제했지만 아직까지 유방 없이 사는 건 생각해 보지 않았다”며 “꼭 유방 ... ...
값싸고 휘어지는 저가 태양전지 나온다
2015.03.29
KAIST 교수(왼쪽)와 우한영 부산대 교수(
오른쪽
) - KAIST 및 부산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는 플라스틱 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여 상용화에 한 걸음 다가섰다.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우한영 부산대 나노융합공학과 교수팀은 고분자로만 이뤄진 플라스틱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