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관
외견
외모
외양
겉치레
용모
풍모
d라이브러리
"
겉보기
"(으)로 총 542건 검색되었습니다.
퍼져라~! 행복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끌끌끌…. 뭔가 고민하고 있는 친구! 고민하지 말라니까. 어차피 머리만 아플 뿐이야. 포기하고 불행을 받아들이라구~.아, 나는 누구냐고? 누구긴! 이 세상이 불행에 빠지는 날까지 불행을 전하려고 불철주야 노력하는 불행바이러스지!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 남의 행복이 나의 불행~!그런데 말이야,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두둥~!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100% 리얼 자연생태 추적기!멸종한 것으로만 알려진 공룡. 하지만 지금 이 순간 어딘가에서 거대한 덩치를 끌고 돌아다니며 심지어는 사람까지도 잡아먹는 거대 도마뱀이 있다? 없다? 두 가지 이상의 동물을 합성한 모습을 하고 있는 전설 속 동물 키메라. 과연 키메라와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진 뒤 서쪽 하늘 낮게 세 천체가 삼각형을 이루며 나란히 늘어선다. 금성과 목성 사이의
겉보기
거리는 약 2°로 보름달 크기의 4배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12월 29일 금성 대신 수성이 12월 29일에는 금성 대신 수성이 목성, 달과 한자리에 모인다. 세 천체는 해가 진 뒤 지평선 가장 위로부터 목성,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늘리면서 같은 생각을 반복하면 지구에서 보는 밤하늘의 밝기는 무한대가 돼야 한다.
겉보기
밝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해 감소하지만 겉넓이는 제곱에 비례해 증가한다. 공껍질 하나하나의 전체 밝기는 반지름, 즉 거리에 무관하게 일정하다. 우주가 무한하다면 무한히 많은 공껍질을 상상할 수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봉지를 씌우지 않은 사과에 비해 맛이 떨어진다. 윤 박사는 “맛있는 사과를 고르려면
겉보기
에만 좋은 것보다는 껍질이나 표면이 다소 거칠어도 자연 그대로 약간 거무튀튀한 색을 띠는 사과를 고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겉만 보고 판단하지 말아야 할 과일이 또 있다. 포도를 잘 살펴보면 하얀 ... ...
[지구과학]암석의 변성작용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문제 1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비가역 과정이란 작용하는 외력이 없는 상황에서 현상에 관여한 물체가 처음과 동일한 상태로 돌아가지 않는 현상이다. 자연 현상은 대부분 한쪽으로만 진행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진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자연 현상의 비가역성을 열역학 제2법칙이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해서 음량이 2배가 되지는 않는다. 벨은 실험을 통해 소리의 세기가 약 10배 증가해야
겉보기
음량이 약 2배 커짐을 밝혔다. 소리의 세기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소리의 세기(세기레벨) = 10log I/I0 I는 측정된 소리의 세기이며 I0는 기준값(10-12W/m2)이다. 보통 사람들이 대화하는 소리의 ... ...
[지구과학]구름이 하늘에 떠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스펙트럼형을 측정했다. 철수가 측정한
겉보기
6등성인 별 A의 시차는 0.3″이다. 별 B는
겉보기
1등성으로 시차는 0.05″이고 스펙트럼형은 둘 다 K형이다. 단 모든 별은 흑체로 가정한다. 1) 별 B의 실제 밝기(광도)는 별 A의 몇 배인지 구하라. 2) 철수는 별 B와 태양의 시직경(관측자가 항성의 지름을 본 ... ...
목성과 즐거운 화상 채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올 여름 늦은 저녁 동쪽하늘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목성 촬영에 도전해보자. 목성은
겉보기
밝기가 밝고 다른 행성에 비해 시직경이 크기 때문에 비교적 촬영하기 쉽다. 게다가 목성 주위를 도는 4대 위성의 운동과 목성 표면의 다양한 줄무늬는 촬영에 큰 즐거움을 선사한다.행성을 촬영하는데 가장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The selective value of a gene depends on how it affects the total reproductive probability.어떤 유전자의 선택 가치는 이 유전자가 전체 생식 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우리는 왜 늙을까?인류가 이런 질문을 진지하게 하기 시작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늙을 때까지 살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