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쪽
"(으)로 총 620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톈원1호’ 화성 촬영 사진 첫 공개…궤도 진입 임박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곧장 화면 표면에 착륙선과 로버를 내려보내지 않고 5월 화성의 ‘유토피아 평원’
남쪽
에 착륙을 시도한다고 설명했다. 톈원 1호가 화성 착륙에 성공하면 미국과 옛 소련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화성 착륙에 성공한 나라가 된다. 자국의 화성 탐사 첫 성공이라는 기록도 세운다. 중국은 2011년 러시아 ... ...
3일 퇴근길 서두르세요… 중부지방에 또 '큰 눈' 최대 적설량 15cm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반도 서쪽에 발달한 저기압이 구름대를 만드는 가운데
남쪽
이동성 고기압에서 불어오는 온화한 남서풍이 구름대를 한반도에 유입시키며 눈이 내릴 전망이다. 여기에 북서쪽에서 불어오는 찬 공기가 구름대를 더 강하게 만들 가능성이 있다. 기상청 제공 올 겨울 폭설은 ... ...
스페이스X는 안 하는 공중 발사, 버진 오빗은 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1.25
게 가장 효율적이지만, 이 경우 비행경로에 일본이 있어 발사 방위각을 170도로 설정해
남쪽
으로 쏘아 올렸다”며 “올해 10월 처음 발사되는 누리호는 80도로 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공중 발사는 비행기만 이륙할 수 있으면 전 세계 어느 공항이든 발사장으로 삼아 로켓을 발사할 수 있다. ... ...
땅에서만 쏘란 법 있나…버진 오빗, 공중 로켓 발사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실은 코스믹 걸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우주공항에서 이륙했다. 남태평양 채널제도
남쪽
10.7km 상공에 도달한 코스믹 걸은 왼쪽 날개 밑에 달려 있던 런처원을 분리했다. 모선에서 분리된 런처원은 약 3분간 1단 엔진을 점화한 뒤 목표 궤도를 향해 비행했고, 이후 런처원에 실려있던 소형위성 1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동아사이언스
l
2021.01.17
필요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1963년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남쪽
에 아레시보 천문대와 함께 건설됐다. 반사판의 지름이 305m로 2016년 지름이 500m인 중국의 구면전파망원경(FAST)이 등장하기 전까지 단일 망원경 중에는 전 세계에서 크기가 가장 컸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와 장내 미생물
2021.01.12
만 명 당 확진자 수 현황을 보면
남쪽
이 좀 더 많다. 계절적 요인을 고려하면 연중 따뜻한
남쪽
이 오히려 적어야 할 것 같은데, 정말 식단에 따른 장내미생물 조성 차이가 영향을 미친 결과인지 궁금하다. 코로나19의 극단적인 증상 분포의 적어도 일부는 장 건강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주장이 ... ...
한반도까지 내려온 북극공기 제주도까지 얼었다…제주 첫 한파경보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한반도 북동쪽에서 영하 50도 안팎의 차가운 공기를 머금은 저기압이 머물며 한기를
남쪽
으로 보내고 있다. 고도 1.5km 이하 대기 하층에서도 한반도 북서쪽 대륙고기압과 북동쪽 대륙저기압 사이 만들어진 통로를 따라 북쪽의 찬 공기가 빠르게 남하하고 있다. 미국해양대기청(NOAA) 기후예측센터 ... ...
韓 태풍이 美 산불 일으켰다…전지구 기상 ‘나비 효과’ 입증
2021.01.05
예측모델을 분석해 이들 태풍이 지구 기상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남쪽
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는 태풍이 만들어지면 그 힘으로 성층권에 흐르는 제트기류의 방향을 바꾼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이에 따라 고기압이 미국 알래스카주 지역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이들이 날아간 거리는 100억km가 넘는다. 보이저 1호와 2호는 각각 태양권계면의 북쪽과
남쪽
을 통과하며 자기장과 플라스마의 변화 등 태양권계면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냈다. 보이저 임무에 참여하고 있는 박지우 NASA 고다드 우주센터 태양권 물리학 실험실 연구원은 “태양권계면 안쪽에서는 ... ...
[프리미엄 리포트]3D프린터로 찍어낸 가짜알로 바다거북 알 밀렵꾼 잡는다
과학동아
l
2020.12.19
증가했다. 이에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한 보츠나와, 짐바브웨, 케냐 등 아프리카
남쪽
에 위치한 국가들은 DNA 기술을 이용해 본격적인 밀렵꾼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특히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코뿔소 사체 발견 시 DNA 샘플 채취를 의무화하고, 살아 있는 코뿔소의 DNA도 채취하고 있다. 이번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