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쪽
"(으)로 총 62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풍 ‘마이삭’ 북상..."3일 새벽 세력 차츰 약해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마이삭 이동 경로 예측. 기상청 제공. 제9호 태풍 ‘마이삭’이 2일 13시 기준 제주 서귀포
남쪽
약 240km 해상에서 시속 23km로 북상중이다. 제주도 전해상과 남해상, 서해 남부 해상에서 태풍 특보가 발효중이며 제주도와 남해안에는 최대 순간 풍속 약 90km(초속 약 25m) 내외의 강한 바람이 불고 있다. ... ...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사된 로켓, 51년 만에
남쪽
향해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기지에서
남쪽
으로 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현재 플로리다에서
남쪽
으로 발사가 가능한 로켓은 스페이스X의 팰컨9뿐이다. 사람들이 많은 지역 위를 나는 로켓은 만약의 사태를 대비해 신속하게 자폭시킬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로켓 엔진에서 나오는 가스가 자폭 신호를 방해할 수 ... ...
태풍 '마이삭' 내달 3일 부산 인근 상륙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최대 풍속 초속 32m(중급)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상을 지나 2일 오전 3시 서귀포
남쪽
440km해상에 도착할 예정이다. 예상경로대로라면 3일 오전 3시 부산 북서쪽 20km으로 상륙해 울산과 포항 등을 지나 같은 날 오전 강릉 동남동쪽 90km 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삭은 캄보디아에서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일본
남쪽
과 시베리아 동쪽에 위치한 두 고기압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았다(그림 1).
남쪽
에 위치한 북서태평양 아열대 고기압이 한반도에 지속적으로 수증기를 공급한 반면, 시베리아 동쪽 고기압에 의한 건조한 북동풍은 한반도에 수증기를 가두고 비가 지속적으로 내릴 수 있게 도왔다. 더불어 ... ...
'사람도 날릴 위력' 태풍 ‘바비’ 제주도 인근 북상...수해 추가 피해·낙하물 피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5
영향권에 들어갈 전망이다. 25일 기상청은 새벽 4시를 기해 제8호 태풍 바비가 서귀포
남쪽
약 530km 부근 해상으로 북상해 15시 서귀포 남남서쪽 약 390km 부근 해상에 접근할 것이라고 예보했다. 26일 새벽 3시에는 서귀포 남남서쪽 약 280km 부근 해상까지 근접해 25일 밤부터 제주와 남해안을 ... ...
26일 밤과 27일 새벽 사이 사람도 날려버릴 '바비'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4
기상청은 이번 태풍에 대해 “태풍의 경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바람이 매우 약하고 한국
남쪽
해상의 해수면 온도가 30도 내외로 평년보다 약 1~2도 높은 가운데 태풍이 느린 이동속도로 고수온 해역을 통과하면서 세력이 급격하게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우리나라는 태풍의 위험반원인 ... ...
태풍 ‘바비’ 27일께 수도권 관통...9월 낮 더위 예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관통할 것으로 전망됐다.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태풍 바비는 26일 오전 4시 서귀포
남쪽
약 270km 부근 해상에 도착한 뒤 27일 오전 3시 목포 북북서쪽 약 20km 부근 해상으로 상륙할 전망이다. 목포 부근에서 바로 북상해 수도권을 관통해 28일 새벽쯤 북한쪽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전망됐다. 태풍 ... ...
[팩트체크] 긴 장마 끝나고 폭염?..."2018년만큼은 아닐 것"
과학동아
l
2020.08.22
찾아오고, 반대로 고위도 지방의 차가운 공기를 가져오면 추위가 시작된다. 제트는
남쪽
과 북쪽 대기의 온도차가 클수록 강하며, 비교적 곧게 흐른다. 반대로 온도차가 작으면 제트는 마치 뱀이 기어가듯 구불구불하게 흘러간다. 이를 사행(蛇行)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중위도 지역 제트의 사행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원래 태양의 약 3000만 배의 물질을 평소에도 내뿜고 있는데, 어두워진 석 달 동안에
남쪽
지역에서만 평소의 2배 이상의 물질이 방출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텔게우스는 올해 4월 원래의 밝기를 회복했다. 연구팀은 2월 관측 이후 베텔게우스 대기에서 물질 분출 현상이 관측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 ...
장마에 태풍까지 온다…제5호 태풍 '장미' 북상 10일 영향권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현재 시속 37km 속도로 북상하고 있다. 기상청은 태풍 장미가 10일 오전 3시쯤 서귀포
남쪽
약 350km 부근 해상까지 올라오고 같은 날 오후 3시 부산 남서쪽 약 50km 부근을 지날 것으로 보고 있다. 태풍 장미의 영향으로 이날 전국에는 비가 오고 직접적인 영향권 아래 있는 경남과 제주는 강한 바람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