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5. 3차원 게임
과학동아
l
199606
통한 가상현실 인터넷에서 정보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용어설명프레임애니메이션
그림
들의 특정한 한장을 1프레임(frame)이라고 한다. 만화영화, 영화 등에서는 초당 30프레임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1초당 30프레임 이상이면 인간의 시각으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변화를 느낄 수 없기 ... ...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
과학동아
l
199606
나누어 살펴보자.팩스는 문서의 글자를 단위로 읽어들이는 것이 아니라 한 장의 흑백
그림
으로 파악해 이를 디지털로 처리하는 방식을 취한다. 읽기부분은 전송을 요청한 원고에 빛을 쪼이면 CCD나 CIS(contact image sensor)라 불리는 일종의 렌즈를 통해 주사선상의 이미지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 ...
1. 큰돈을 작은돈으로 바꾼다.
과학동아
l
199606
에너지를 말한다.정온동물의 에너지 생산 정도인 대사율은 동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옆
그림
에서 보면 코끼리와 쥐의 대사율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몸의 크기가 작을수록 대사율이 높고, 대사율이 높을수록 더 많은 열이 생성된다.포유류 중에서 가장 작다고 알려진 땃쥐(그 크기가 커다란 ... ...
사이버세계의 전주곡 3차원 입체
과학동아
l
199606
아닌 것처럼 보이는
그림
을 뚫어져라고 응시하면 평평한 종이 위에 문양이 떠오르는 입체
그림
(stereogram)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우리가 보고 있는 3차원의 세계를 2차원이 아닌 3차원으로 기록하려는 시도 중의 하나였다. 우리는 어떻게 입체감을 느끼는 이유부터, 3차원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각종 ... ...
1. 인간은 왜 입체감을 느끼나
과학동아
l
199606
영화가 최초로 상영됐을 때, 사람들은 스크린 위에서 움직이는 영상을 보며 감격한 나머지 울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런데 요즘은 영화 속의 기차가 나를 향해 달려오 ... 통해
그림
을 보면 시선이 교차하면서 사시가 된다. 그 상태로 손가락을 당겨가면서
그림
의 초점이 맞는 곳을 찾는다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
과학동아
l
199606
알코올이 식욕을 증진시킨다는 점이다. 알코올이 뇌 시상하부에 존재하는 식욕중추(
그림
)의 신경세포를 자극, '자 이제 그만 하지' 하는 식욕 제어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식사는 물론 안주까지 모두 먹는 일이 흔하다. 4 식사시간 최소 20분 확보소량으로도 포만감을 얻을 수 있는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06
입자설 지지자들은 빛 입자가 수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아 굴절한다고 설명했다(
그림
1). 이때 힘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들은 공기 분자가 빛 입자를 끌어당기는 힘보다 물 분자가 빛 입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크다고 가정했다. 파동설 진영에서는 공기와 물의 ... ...
1. 식이요법
과학동아
l
199606
시도와 실패가 여러번 반복되면 체중은 더 증가한다. 이를 요요현상이라고 한다(
그림
). 이 현상은 몸의 '자동 기억조절장치' 때문에 발생한다.몸은 자기 체중을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에너지 공급량(식사량)과 소비량(활동량)이 어느 정도 변화해도 몸은 일정한 체중을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쓴다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6
기억 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장소는 대뇌피질 측두엽에 위치한 해마(hippo-campus) 부위다(
그림
1). 오동열과장(국립정신병원 정신위생과)은 "몸에 흡수된 알코올이 해마를 일시적으로 마비시켜 단기적인 기억상실을 일으킨다"고 설명한다.알코올 중독자의 뇌를 자기공명장치(MRI)로 촬영해 정상인의 뇌와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05
대기운동은 나비모양의 점들로 이뤄진 '이상한 끌개'(strange attractor)형태로 나타난다.(
그림
1). 점들의 궤적은 거의 원점에서 출발해 오른쪽면에서 진동하다가 왼쪽면으로 건너가 나선들의 중심으로 진입한다. 궤적은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나선들을 천천히 그리다가 오른쪽 면으로 빠르게 되돌아와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