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710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쟁은 생명체의 숙명인가
2014.12.08
게 더 효율적인 것 같지만 그렇지도 않다. 비유하자면 손을 그릴 때 처음부터 손가락
단위
로 그리면 웬만한 실력자가 아니고서는 제대로 그리지 못한다. 오히려 처음에는 손 윤곽을 그리고 전체적으로 보면서 손가락 자리를 잡아가며 스케치해야 균형 잡힌 손이 나온다. 아무튼 이런 예외적인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고온에서 변형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이때 타이타늄의 미세 구조는 nm(나노미터)
단위
로 줄어든다. 금속을 이루는 성분의 미세 구조가 작을수록 금속의 강도는 강해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공정을 거친 타이타늄의 강도는 일반 타이타늄의 강도보다 2배 높았다. 이는 타이타늄 합금과 비슷한 ... ...
‘반데르발스 힘’ 예상보다 10% 더 세다
2014.11.26
작용하는 힘만 측정할 수 있었을 뿐 실제로 반데르발스 힘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분자
단위
에서는 정밀하게 측정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단백질처럼 복잡한 분자들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탄소화합물 분자를 뾰족한 금속 끝부분에 붙인 뒤 이 결합물이 마치 회전하는 ... ...
빛만큼 빠른 전하 움직임 첫 관측
2014.11.25
개발한 초고속 광전현미경으로 나노 크기의 소자에 흐르는 전하의 움직임을 펨토초
단위
로 관측할 수 있었다. 또 전하가 전극 사이를 통과하는 시간을 관측할 수 있었으며, 조건을 다양하게 바꿀 때 전화의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관측하는 데도 성공했다. 안 교수는 “전하의 속도와 소자 내 ... ...
[채널A] 우리 위성, 평양 시내 차량 대수까지 식별
채널A
l
2014.11.19
주차된 차량 수를 셀 수 있을 정도로 생생합니다. 지상을 가로 세로 각 70cm
단위
로 촬영할 수 있는 아리랑 3호가 찍은 사진입니다. 우리나라 위성 중 유일하게 영상레이더를 탑재한 아리랑 5호는 화산 연기에 가려진 분출구의 균열까지 포착했습니다. [인터뷰 : 채태병 /항공우주연구원 ... ...
“후쿠시마 원전 인근 주민 방사선 피폭 거의 없어”
2014.11.14
평균 자연 방사선량인 2.4mSv(밀리시버트·방사선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
)보다 낮았습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이 11일 개최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 의료대응 과정에서의 교훈’ 세미나에 참석한 하세가와 아리후미 후쿠시마의대 교수는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얇은 금속 박막을 강한 산성 용액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했을 때 만들어지는 나노미터
단위
의 미세한 구멍이다. 특히 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어 전극 사이의 간격이 균일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나노동공에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해질을 넣고 양쪽 구멍 끝부분에 ... ...
케이시크, KBS와 공동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4.11.04
대표 김영렬)는 KBS와 함께 를 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대
단위
시청자가 실시간으로 참여하는 형식의 양방향 방송으로, 지난 10월 25일과 11월 1일 오후 6시에 KBS1 채널을 통해 전국 생방송됐다. 한석준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고 박준규, 송은이, 김태현 등이 패널로 출연한 ... ...
대표 과학축제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부산에서 열린다
2014.10.28
처음으로 열린다. 중·고생들이 창의재단이 선정한 우수과학도서를 활용해 팀
단위
로 연극이나 TED 등 다양한 형식으로 발표·경연하는 대회이다. 강흥서 창의재단 과학문화사업실장은 “그동안 과학축전에서 ‘물·화·생·지’를 많이 다뤘다면 올해는 ICT 컨텐츠가 30%를 넘는다”며 “단순히 보고 ... ...
톰슨로이터, 노벨과학상 수상후보 한국 과학자 첫 지목
2014.09.26
2004년 사람에 따라 DNA 조각이 일부 없거나 몇 개 더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
단위
반복변이(CNV)’라고 이름 붙였다. 2007년에는 탄수화물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효소인 ‘아밀레이스’를 만드는 유전자(AMY1)의 개수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기도 했다. 한국인처럼 탄수화물을 많이 ... ...
이전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