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제
약
의약품
의약
약품
약물소독
소독
뉴스
"
약물
"(으)로 총 2,748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
2015.07.21
전태준 교수 - 인하대 제공 항생제를 잘못 먹으면 변비나 설사 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
약물
이 세포막을 교란해 몸에 유용한 세포까지 죽이기 때문이다.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 실험을 통해 확인하는 게 일반적이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생체 외 인공세포막을 ... ...
도라지와 관중 성분, 혈전증 위험 낮춘다
2015.07.14
치료와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게 일반적이다. 외과적 시술은 재발률이 높아 지속적인
약물
복용이 필요하지만 항혈전제가 전신성 출혈, 위장질환 등의 부작용을 동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실험쥐에게 5일간 개발한 약을 먹이며 성능을 시험했다. 도라지에서 추출한 신소재인 E20을 ... ...
청력장애, 유전자 치료로 고친다
2015.07.12
약물
치료를 받은 쥐는 갑자기 나오는 소리에 놀라서 껑충 뛰어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약물
치료를 받은 쥐가 반응을 보인 최소 소리의 크기는 80dB(데시벨)로 지하철 소음 정도에 해당한다. 홀드 교수는 “현재 심각한 난청 치료를 위해서는 달팽이관 성형 등의 방법을 도입하고 있지만 유전자 ... ...
“매일 소변과 피만 봅니다”
2015.07.10
도핑 단백질 찾아 소변검사만으로는 도핑을 완벽하게 잡아낼 수 없다. 과거에는 도핑
약물
이 마약이나 흥분제 등 분자량이 작은 합성화합물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체내 단백질 구조와 비슷한 고분자 화합물도 많다. 소변에서는 고분자 화합물의 농도가 낮아 검출이 잘 안 되므로 혈액검사로 ... ...
신약 후보물질 골라내는 데 현미경 하나면 끝!
2015.06.22
현미경이 있어서 가능했다. 연구진이 항암제인 세투시맙(cetuximab)을 붙이자 이
약물
을 잡아들이는 수용체가 세포막에서 움직이는 정도가 40% 정도까지 떨어졌다. 포스텍 연구진이 이번에 발견한 모델(오른쪽)과 기존 샤프만-델브룩 모델. 기존 모델에서는 외부 물질이 세포막에 붙어도 막 ... ...
[메르스 업데이트] 메르스 바이러스 복제 막는 물질 찾았다
2015.06.22
메르스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효소는 쌍둥이 효소가 서로 달라붙은 뒤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 절단 작업을 진행한다. 퍼듀대 연구진은 단백질 분 ... “다양한 억제물질 후보군을 실험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메르스와 싸우는 새로운
약물
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뿐만 아니라 중의학 처방을 받은 환자들은 전반적으로 증상이 완화돼 스테로이드 같은
약물
의 사용량이 줄어들었고 입원기간도 짧았다. 그만큼 환자들이 덜 힘들었다는 말이다. 그 결과 치료비용도 줄어들었는데 5번 보고서에 따르면 조합치료의 경우 한 사람 당 7024위안(약 120만 원)으로 ... ...
열나면 메르스? 발열 증세 나타나는 질환 다양
동아일보
l
2015.06.22
섭취한 후 발열, 복통, 설사 등이 나타나는 급성장염, 식중독 등이 있다. 열이 있을 때
약물
로 체온을 조절하기보다는 충분히 땀을 내어 인체가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해열제는 단기 체온 조절을 도울 수는 있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간이나 신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복용 ... ...
주사보다 효과 좋은 먹는 백신 나온다
2015.06.16
이전보다 1.7배가량 회장 점막에 잘 달라붙을 뿐 아니라 산성도(pH)가 7.4인 회장에서
약물
을 방출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실제로 연구진은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회장까지 안전하게 백신을 전달하고 점막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현상을 확인했다. 최 교수는 “현재 개발 중인 돼지 구제역과 돼지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AIDS·에이즈) 바이러스 치료제인 아지도티미딘(AZT)도 개발된 지 얼마 안 돼 바이러스가
약물
을 인식하면서 결국 쓸모없게 됐다. 반면 세균은 1928년 영국 미생물학자인 알렉산더 플레밍이 항생제 ‘페니실린’을 처음 개발하면서 몰락의 길을 걸었다. ‘페니실륨(Penicillium)’이라는 푸른곰팡이가 ... ...
이전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
다음
공지사항